정부가 ESS(Energy Storage System) 사고조사위원회 출범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산업기술시험원, 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등 시험기관과 학계 전문가들이 조사위원으로 참석하는 ESS 사고조사위원회를 1월 둘째주 안에 구성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ESS는 정부의 ESS 설치 대상 전기요금 특례정책을 비롯한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육성정책을 발판으로 신규 설치건수가 2016년 66개에서 2017년 265개, 2018년 782개로 급증하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지속하며 2017년과 2018년 상반기 사이 알짜 신산업으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2018년 하반기를 중심으로 짧은 시기에 여러 건의 화재사고가 잇따라 발생했고 아직 원인을 규명하지 못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ESS 화재사고는 2017년 최초 발생 이후 17번에 달하고 있으며, 2018년에만 16번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LG화학 배터리를 탑재한 ESS에서 화재가 주로 발생했다.
사고조사위원회는 생산기업별 사양에 맞추어 화재원인 규명에 나설 계획이며 ESS제품별 사양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3-5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ESS 관련기업들은 정부의 안전조사가 설치 제한으로 이어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으며, 실제로 2018년 11월부터 산업통상자원부가 전국 1253개 사업장에 대한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며 일부 사업장에 대해 가동중단을 요청하고 있어 시장 축소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