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국산화에 조달처 다변화 촉진 … 정부, 자동차부품 중심 지원
일본 정부가 산업계의 중국 의존도 낮추기를 적극 유도하고 있다.
일본은 주요 선진국 가운데 중국 의존도가 가장 높다는 판단 아래 자동차부품, 전자부품 등 중간재 분야에서 중국산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일본에서 직접 생산하거나 동남아시아 등으로 조달처를 변경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이 본격화되면서 서플라이 체인 단절 위기가 극대화됨에 따라 조달처 다변화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아베 신조 수상(내각총리)이 의장을 맡고 있는 미래투자회의는 3월5일 자동차부품을 포함한 중간재 수입에서 중국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21%로 선진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대책 마련을 촉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기업의 해외법인 가운데 중국법인이 3000사 이상에 달하고 있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가동중단 사태가 일본 제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업계속계획(BCP)을 설정한 곳은 대기업이 64%, 중견기업은 32%로 확대됐으나 서플라이 체인 유지를 위한 대책을 마련한 곳은 전체의 36%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즉, 개별기업 단계에서 대책이 불충분하다는 판단 아래 내각이 산업계의 구조 자체에 변화를 주어야 한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으로 중국 의존도와 중요성을 감안해 조달처 다각화를 촉진할 대상을 정리할 계획이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품목 가운데 부가가치가 높은 것은 일본에서 생산하도록 할 예정이나 채산성이 맞지 않는다면 동남아 각국으로 조달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구체적인 품목 결정 등은 추후 회의를 통해 결정할 예정이나 현재까지는 중국 의존도가 높은 고부가가치 품목으로 캠샤프트, 사이드 에어백, 안전벨트 등을 주목하고 있다.
또 일본에서 생산할 때 채산성이 맞지 않아 조달처를 다원화해야 하는 품목으로는 와이어하니스와 일부 프린트 기판 등이 언급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산 중간재 수입비중은 전기·전자 22%를 비롯해 화학제품 20%, 일반기기 17%, 철강·금속 14%, 수송기기 6% 등으로 파악되고 있다.
일본 제조업에서는 생산기능을 일본으로 되돌리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도 엔화 약세와 함께 중국 인건비 상승 등으로 코스트 경쟁력에 문제가 발생한 것이 탈중국화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일본 제조업 설비투자에서 해외법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이후 계속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