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레이, 마이크로LED‧OLED 공세 강화 … 포장‧의료용 개척
도레이(Toray)가 디스플레이‧반도체 등 전자 분야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도레이는 기존 전자소재 사업을 강화하는 한편 전자 분야에서 축적한 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용도 개척에 주력하고 있다.
마이크로 LED(Light Emitting Diode)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용 소재는 극세화 기술이 요구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소재 사업에서 확보한 기술 활용을 적극화하고 있다.
마이크로 LED는 PI(Polyimide)를 재배선층에 사용하고 있으며 도레이는 PI에 실록산계를 더해 점착성이 강한 내열 소재를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레이엔지니어링(Toray Engineering)이 마이크로 LED 칩인 플립칩 본더와 불량 검출장치를 생산하고 있어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도레이엔지니어링은 본더 기술을 발전시켜 레이저 전사 장치를 개발했으며, 도레이는 레이저 전사 중 접착층에 사용하는 PI를 생산하고 있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소재는 블랭뱅크 평가를 진행함에 따라 양산 시기가 다가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패널 구성이 변화하며 원편광판을 없애는 대신 컬러필터와 블랭뱅크로 반사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폴더블(Foldable) 기기 용도를 주요 타깃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도포형 패널용 발액 뱅크 소재도 개발하고 있다.
OLED 발광 기술을 활용해 개발한 파장 변환 시트는 일반적인 무기 양자도트(QD: Quantum Dot) 시트보다 색 재현성이 우수하고 카드뮴 프리로 평가되고 있다.
무기 양자도트 시트는 양자도트가 카드뮴을 함유하고 색 특성이 떨어지는 점이 과제가 있는 반면, 파장 변환 시트는 OLED 소재의 고질적 과제인 내구성을 극복해 상용화에 성공했으며 성능 향상을 통해 채용실적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하이엔드 모니터, 노트북 뿐만 아니라 VR(가상현실)/AR(증강현실) 용도 대응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감광성 도전 페이스트 RayBrid는 자동차용 대형 디스플레이용으로 사용되는 ITO(Indium Tin Oxide) 막을 대체하고 있다.
ITO 막도 성능이 향상되고 있으나 대형화가 진행될수록 저항이 낮은 RayBrid의 필요성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공급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이밖에 식품 연포장 용도에서 물 없이 실현할 수 있는 평판 기술을 보급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현재는 용제를 대량으로 사용하는 그라비아잉크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 환경‧노동 문제가 심각하기 때문에 물로 잉크를 세정할 수 있는 잉크 베이스 폴리머 신제품을 개발하고 물 없이 실현 가능한 평판 기술과 함께 제안할 계획이다.
의료 분야에서는 맘모그라피에 사용하는 신틸레이터에 격벽 포함 셀 방식 X선 패널을 공급할 예정이다.
리소그래피 소재 기술을 활용해 세밀하면서 높은 벽을 형성하고 빛 확산을 막을 수 있어 고화질 촬영 영상을 얻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식품 X선 검사나 노후화가 진행되고 있는 원자력 발전소 검사용 등 다른 용도로 확장 적용하는 것 역시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