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바이오 기반 플래스틱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이 3월20일 차세대 플래스틱 소재인 PEA(Polyesteramide)를 생산하는 미생물 균주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PEA는 널리 사용되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나일론(Polyamide)의 장점을 갖추었으나 화석연료 기반으로 환경오염 문제를 피할 수 없었다.
연구팀은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신규 대사회로를 설계해 9종의 PEA를 생산하는 플랫폼 미생물 균주를 개발했으며 폐목재나 잡초에서 얻을 수 있는 포도당으로 생산이 가능해 친환경적이다.
연구는 한국화학연구원 정해민·신지훈 박사팀과 공동으로 진행됐으며 바이오 플래스틱은 친환경 소재인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수준의 강도와 내구성을 가졌다고 분석됐다.
또 유가배양식 발효 공정을 통한 고효율 생산(54.57g/L)이 가능해 산업화 가능성도 확인했다.
이상엽 특훈교수는 “석유화학산업에 의존하지 않고 바이오 기반 화학산업을 통해 PEA를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처음 제시했다”며 “생산량과 생산성을 더 높이는 후속 연구도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3월17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Nature Chemical Biology)에 게재됐다. (오영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