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산업 전력 소비량 2.8% 증가
|
산자부, 2월 전체 전력소비 10.9% 증가 … 산업용 전력은 꾸준히 증가 2003년 2월 전력 소비량이 2002년 2월보다 10.9% 증가한 가운데 주택용과 일반용은 각각 13.5%, 13.1% 소비가 증가한 반면, 산업용은 8.7% 증가한 121억㎾h를 기록했다.산업자원부에 따르면, 2003년 2월 전력소비량은 249억4300만㎾h로써 2002년 2월보다 10.9% 증가했으며, 전월대비로는 5.6% 감소했다. 2003년 1-2월 누계는 513억5800만kWh로 9.6% 증가했다. 전력 소비증가율은 2002년 9월 3.1%를 저점으로 10월부터 높은 증가 추세를 지속하고 있다. 2월 전력 소비가 크게 증가한 것은 설 연휴가 1월 말부터 2월 초에 걸쳐 있어 조업일수가 2일 많았고 2002년 10월부터 20%대의 수출 증가세가 5개월째 지속됐으며, 심야전력이 난방용 전력을 중심으로 17.0%나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또 최근 3년 동안의 봄과 가을에는 전력 수요가 낮고 여름과 겨울철에는 전력 수요가 크게 증가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전체 전력 소비의 48.7%를 차지하는 산업용 전력은 8.7%의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며 121억4200만kWh를 기록했다. 수출 실적이 2002년 10월부터 5개월 연속 20%대의 높은 신장세를 유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산업용 전력이 전체 증가율 10.9%보다 낮은 증가에 그친 것은 자동차, 조선 및 반도체 업종은 높은 증가율을 보인 반면, 소비 비중이 높은 철강, 섬유 및 화학제품 산업의 소비 증가율이 저조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산업용 전력 소비 증가율은 2002년 3/4분기 4.8%를 저점으로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철강업종이 전체 산업용 소비의 15.9%인 19.4억㎾h로 1위를 기록했고, 다음으로는 화학제품 및 섬유가 각각 3.5%, 0.1% 올라 15.5억㎾h, 10.6억㎾h로써 2위, 3위를 차지했다. 또 고무제품 제조업은 8.3% 증가한 8억4400만㎾h, 석유정제업은 25.9% 증가한 8억6900만㎾h의 전력을 소비했다. 한편, 주택용 전력이 13.5% 증가한 66억0200만kWh, 점유율 26.5%을 보였으며, 일반용 전력은 최근 급격한 증가세를 나타내 증가율 13.1%, 점유율 20.7%에 515700만kWh를 기록했다. 기타 전력 소비는 10.3% 증가한 10억4200만kWh에 그쳤다. 주택용 전력 소비는 2002년 10월부터 높은 상승률이 5개월째 지속되고 있다. 기타 농사용, 교육용, 가로등용 전력은 10억4200만㎾h를 소비해 2002년 2월에 비해 10.3%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전체 소비의 38.5%인 96억kWh를 소비했고 다음으로는 부산?경남과 대구?경북이 각각 46.1억kWh(18.5% 점유), 33.1억kWh(13.3% 점유)를 소비했다. <조인경 기자> 표, 그래프: | 전력 소비실적 | <Chemical Journal 2003/04/04>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바이오연료] 화학공장, 전력-수소-CO2 동시 생산 | 2025-10-31 | ||
| [엔지니어링] 화학산업, 자동화로 현장 혁신하라! | 2025-10-17 | ||
| [정밀화학] 바스프, 지속가능한 화학산업 선도 | 2025-10-02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화학경영] 유럽 화학산업 ③, 스페셜티 중심 전환으로 글로벌 리더십 회복한다! | 2025-10-17 | ||
| [산업정책] 유럽 화학산업 ② , 전열화·CCS·탄소중립으로 지속가능 화학산업 구축한다! | 2025-10-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