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적대적 M&A 가능성 일촉즉발!
|
크레스트증권, 지분율 12.39%로 상승 … 자사주 10.24%는 의결권 없어 최근 SK의 지분 8.64%를 확보해 1대주주로 올라선 영국계 투자회사 크레스트증권이 4월10일 SK 주식 3.75%를 추가로 매입해 지분율이 12.39%로 높아짐에 따라 SK의 경영권 향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크레스트가 시세차익을 노리는 일반적인 외국인 투자자와 달리 시민단체와 접촉에 나서는 등 적대적 인수합병(M&A)이나 그린메일(Green Mail) 의도를 확실히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크레스트 증권은 4월10일 공시를 통해 4월3일부터 9일까지 모두 5차례에 걸쳐 SK 주식 475만7160주를 장내 매집해 총 1572만5890주를 확보함으로써 SK의 지분 12.39%를 확보했으며, 주식매입 목적은 “수익창출”이라고만 밝혔다. 크레스트가 SK 주식 12.39%를 확보함에 따라 SK의 최대주주로 올라섰을 뿐만 아니라 마음만 먹는다면 임시주주총회 등을 통해 이사진을 교체하고 경영권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현재 SK에 대한 계열사와 오너 일가의 지분은 13.26%로 자사주 10.24%와 SK글로벌의 해외파킹(임시예치) 지분 7.88%까지 합치면 우호지분이 32%에 이르며, 임직원들이 보유한 우리사주 4% 안팎을 포함하면 SK 쪽의 지분율은 최대 35.75%대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자사주는 의결권이 없을 뿐만 아니라 SK C&C(8.63%) 등 주요 계열사의 지분은 총액출자제한에 걸려 실제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지분은 10%가 채 안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SK 우호지분의 의결권이 10%도 안돼 크레스트가 12.39%의 지분이면 적대적 인수합병과 그린메일 모두 가능하며, 모든 것이 크레스트증권 마음먹기에 달린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SK그룹의 지주회사격인 SK는 SK텔레콤 20.85%, SK글로벌 37.86%, SKC 47.66%, SK해운 35.47%, SK엔론 50%, SK제약 66% 등 주요 계열사 지분의 대부분을 장악하고 있어 SK의 경영권을 확보하면 재계 3위인 SK그룹 전체를 지배할 수 있다. 그러나 SK는 현재 2조6000억원의 현금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어 자사주 매입 등을 통한 경영권 방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하면 우호적인 제3자인 제이너스(Janus) 등 백기사(White Knight)에 의결권이 없는 지분을 넘겨 의결권을 추가로 확보하는 방안도 생각할 수 있어 경영권이 위협받을만한 상황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표, 그래프: | SK주요 주주 및 계열사 지분 구성 | <Chemical Journal 2003/04/14>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안전/사고] SK에너지, 폭발사고 한달만에 정기보수 재개 | 2025-11-11 | ||
| [바이오연료] SK에너지, 파라타항공에 SAF 공급 | 2025-11-07 | ||
| [신재생에너지] SK이노, 머크와 재생에너지 공급계약 체결 | 2025-11-06 | ||
| [화학경영] SKC, LFP계 ESS 동박 판매 호재로… | 2025-11-06 | ||
| [화학경영] SK케미칼, 1분기만에 흑자전환 성공했다! | 2025-11-0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