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마비 따른 수출대란 막아야!
|
화물연대 부산지부, 협상 결렬되면 총파업 예고 … 5월12일 최후고비 화물연대 부산지부의 파업으로 3일째 부산항의 컨테이너 반출입이 사실상 마비되면서 5월11일부터 수출화물이 선적되지 못하는 사태가벌어지는 등 수출대란이 현실화되고 있다.부산해양수산청 집계에 따르면, 5월10일 오전 8시부터 24시간 동안 부산항 8개 부두의 컨테이너 반출입 물량은 7322개로 평소의 33%에 그쳤다. 1일 전 54.8%에 비해 무려 20%p 가까이 낮아진 것이다. 부산지부 소속 조합원들이 사실상 전면파업에 들어가면서 부두마다 컨테이너 반출입이 눈에 띄게 줄어드는 추세이다. 게다가 부산지부가 대규모 집회를 여는 신선대부두는 반출입이 완전 중단된 상태여서 부산항 전체 컨테이너 반출입 물량이 평소의 20% 선에도 못 미칠 것으로 부두 운영사들은 예상하고 있다. 컨테이너 반출입이 사실상 마비상태에 빠지면서 10일부터는 수출화물이 선적되지 못하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어 수출대란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모 컨테이너 전용부두에서는 10일 20피트 기준 200개 정도의 수출화물을 선적할 계획이지만 20% 정도가 부두에 도착하지 못해 실을 수 없는 실정이다. 다른 부두들도 사정은 비슷해 10일 하루 동안 부산항에서는 평소 선적하는 수출 컨테이너 8000여개 중 1500개 이상이 수출 길에 오르지 못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화물연대의 파업이 계속되면 12일에는 수출화물의 50% 정도가 선적되지 못하고 13일 이후에는 거의 모든 수출화물이 선적되지 못할 것으로 운영사들은 예상했다. 환적화물도 부산항 부두 간 이동이 안돼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부두 운영사 관계자들은 선사들은 부산항에 입항할 때 미리 수출화물을 실을 공간을 비워놓는데 수출화물이 반입되지 못하면 부산항 기항을 아예 포기하고 중국이나 일본에서 수입화물을 내려놓을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하고 있다. 5월8일부터 경고성 파업에 들어간 화물연대 부산지부는 10일 밤에는 18일 오전까지 파업을 유보하고 정부 등과 교섭을 벌이기로 결정했으나 조합원들의 반발에 부딪혀 지부장이 사퇴하고 7개 지회가 공동투쟁본부를 구성해 12일까지 파업을 벌이기로 함으로써 파업강도를 높였다. <Chemical Journal 2003/05/14>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안전/사고] 화학사고, 환경부 신고‧접수 “마비” | 2025-09-29 | ||
| [화학물류] 부산항, 글로벌 화학물류 허브화 | 2024-02-23 | ||
| [산업정책] 중국, 화학제품 생산‧물류 마비된다! | 2021-04-02 | ||
| [제약] LG화학, 소아마비 백신 대량공급 | 2021-01-07 | ||
| [아로마틱] 벤젠, Shell에 울산항 마비까지… | 2016-10-1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