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제
|
강화제는 식품류의 영양강화를 목적으로 하며 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 등이 있다. 강화제는 기능성 식품 및 기능성음료의 시장확대로 큰 폭의 수요신장이 예상되고 있다. 국내 강화제 생산량은 94년 8770톤 180억원에 달한 것으로 보이나 대부분 고가의 수입품에 의존하고 있어 국산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비타민 비타민시장은 93년기준 총 2790톤, 5279만달러로 92년 2580톤, 4768만달러 대비 각각 8%, 11% 신장했다. 이러한 수요증가는 수량면에서 기능성식품과 음료수 등 식품용의 증가와 의약용 영양제의 수요 창출 및 토코페롤 등의 일부 사료용 수요증가 때문이며 금액면에서의 증가는 분기별로 가격인상을 단행한 것이 원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용도별로는 동물사료용이 1614톤, 2747만달러로 수량기준 58%, 금액기준 52%를 차지하고 있으며 의약용은 647톤, 1903만달러로 금액기준 36%, 식품용은 535톤, 629만달러로 금액기준 12%를 차지하고 있다. 종류별로는 토코페롤이 530톤, 1663만달러로 금액기준 31.5%를 차지하고 있으며, 아스코르브산은 1062톤, 1512만달러로 28.6%를 차지하고 있다. 또 리보플라빈은 67톤, 424만달러로 8.0%, Pantothenic Acid는 149톤, 327만달러로 6.2%를 차지하고 있다. 표, 그래프 : | 비타민 수입현황 | 토코페롤 수요구성비(용도별) | 사료용 토코페롤 시장점유현황 | 의약·식품·화장품용 토코페롤 시장점유현황 | 사료용 Biotin 수급현황 | 사료용 Biotin 공급추이(기업별) | 베타카로틴 수요추이(용도별) | 베타카로틴 공급추이(기업별) | 베타카로틴 공급현황 | <’96 화학연감>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합성고무] 특수고무, 저온성 강화제품 확충 | 2014-08-20 | ||
| [식품소재] 영양강화제, 건강식품용 수요 호조 | 2012-06-19 | ||
| [전자소재] 오웬스코닝, 열가소성 강화제 공급 | 2006-10-31 | ||
| [첨가제] KG케미칼, 콘크리트 강화제 생산설비 인수 | 2005-05-04 | ||
| [식품소재] 비타민 강화제품 판매금지 조치 | 2004-08-1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