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학물질에 의한 지구환경오염의 심각성이 표면화되고 있는 가운데 ISO14000 (국제환경경영규격)의 제정 및 시행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관련기업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ISO14000 시리즈는 상품설계 및 원자재 구입에서부터 상품이 폐기될 때까지의 전과정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평가, 경영조직·관리체계·환경경영의 규격화를 통해 날로 황폐해져가는 지구환경을 보호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기업경쟁력의 핵심요소였던 상품의 제조비용, 가격경쟁력, 품질, 기능 등에 이제는 환경적 요인이 추가돼야 한다. 즉, 제조기업 입장에서는 제조원가가 그만큼 상회할 수 밖에 없어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WTO체제 출범 및 유럽의 환경규제 강화 등으로 이를 외면할 수 만은 없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어 국내기업들도 이에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대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ISO14000시리즈는 전기·전자기술부문을 제외한 산업전반에 걸쳐 적용된다. 특히 석유화학산업의 경우 국민생활 전반에 걸친 기초소재산업임과 동시에 공해유발산업으로 인식되고 있어 ISO14000 인증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더욱이 WTO체제 출범과 그린라운드(GR)의 대두에 따라 국제환경경영체제 심사규격이 국제교역상 기술장벽 수단으로써활용될 것이 확실시되고 있어 국내 석유화학산업을 비롯한 모든 산업이 경영 및 상품 생산 과정을 환경적합형으로 전환, 반드시 ISO14000 인증을 획득해야 하는 상황이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선진국의 경우 93년이후 EU를 선두로 하여 구체적인 환경경영규격을 제정·시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국제적 환경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95년 시범인증기관을 통한 시범인증제를 실시하고 9월 「한국품질환경인증협회」를 출범시켰다. 표, 그래프 : | 환경경영진단지도 실시계획 | ISO14000 규격의 17개 요구사항 | ISO14000 문서현황 | 환경경영인증체계 | ISO14000의 인증 획득현황(1995) | 사후관리 심사절차 | ISO14000 인증절차 | ISO14000 시범인증 획득기업 및 생산제품(1995) | <화학저널 1996/3/1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