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약은 현대농업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영농자재이면서도 일부 환경학자나 소비자단체, 유기농업 주창론자들에 의해 증산의 공적은 외면당한 채 공해의 요인만을 지적당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오남용으로 인한 부분적인 부작용이 마치 전체모습인 양 오도되고 있는 현실속에서 농약산업은 내·외적으로 어려운 환경에 처해 있다. 농약산업만이 가지고 있는 특수성도 산업발전을 더디게 하고 있다. △대농민산업이자 계절산업으로 판매대금의 회수가 늦어 일시에 많은 자금을 투입해야 하는 경영상의 어려움이 많고 재투자가 거의 안되는데다, △기상변동에 따라 수요가 좌우돼 생산량 조절이 어려워 재고관리에 문제가 있으며, △기업규모가 영세하고 재원이 부족하여 연구개발비 투자에 한계가 있고, 기술도입과 신농약 개발이 어렵다. 자연상태에서 다수의 농민들이 사용하기 때문에 인축독성 및 환경오염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는 제약도 받고 있다. 우리나라 농약산업은 1950년대 완제품 수입시대에서 1960년대 제제화시대를 거쳐 1970년대부터는 원제 생산시대로 발전하여 왔으나, 지금까지 국산원제의 대부분이 15년 특허시한이 지난 구제품 복제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96년12월부터는 농약제품 등록제가 시행되고 특허기간도 20년으로 늘어남에 따라 더이상 복제원제 생산이 불가능, 신 원제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다만, 국내 농약산업은 개발역사가 짧은데다 연구가 산발적이며, 소규모로 이루어지고, 연구인력이 대학과 출연연구기간에 집중되어 있어, 고도의 기술과 막대한 재원을 요구하는 농약 개발은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95년 한국화학연구소에서 개발한 농약이 영국으로 수출됐으며, 성보의 신농약도 95년 상반기 등록 예정이고, LG화학도 꾸준히 신제품을 연구하고 있어 가능성을 엿보이게 하고 있다. 표, 그래프 : | 국내 농약완제 수요추이 | 국내 농약원제 수요추이 | 세계 농약기업의 매출액 및 순위(1994) | 국내 농약 약제별 수요구성비(1994) | 국내 농약시장 점유현황(1994) | 주요 국가별 농약 약제별 매출현황(1994) | 세계 농약시장 점유현황(1994) | 주요 국가별 농약 시장 전망 | G7과제 진행현황(1995) | 세계 20대 농약기업의 R&D비용(1994) | <화학저널 1996/4/1>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M-X, 아시아 시장 상승 흐름 뚜렷해진다! | 2025-11-14 | ||
| [산업정책] 정부, 2차전지 표준으로 글로벌 시장 선점 | 2025-11-13 | ||
| [합성섬유] 효성첨단소재, 인디아 타이어코드 시장 진출 | 2025-11-13 | ||
| [합성섬유] 광섬유, 자동차 인테리어 시장 개척 | 2025-11-13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배터리] LiB, SK·일본이 리사이클 시장 주도… | 2025-11-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