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수 판촉은 연예인 모델이 적격
|
프리미엄에 매스시장까지 겨냥 … 젊은 여성층에는 연예인이 어필 향수 메이커들이 연예인 및 유명인사 마케팅을 프리미엄 시장에 적용함은 물론 매스 시장도 겨냥하고 있다.Donald Trump은 타깃 소비자층이 젊은 연령대부터 중년층까지 매우 다양한 편이다. 여성용 제품 시장에서도 마찬가지로 Jessica Simpson, Jennifer Lopez, Paris Hilton 등을 모델로 한 향수제품이 젊은 여성층에 어필하는 반면 Mary Kate, Ashley를 모델로 한 제품은 매스 시장을 겨냥하고 있다. 향수 판매점들은 연예인, TV, 잡지 등 매체에 열광하는 젊은층 공략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Coty의 Celine Dion Parfums, Celine Dion Parfum Notes와 Piug Fragrances & Personal Care의 Spirit Antonio Banderas 등이 매스제품에 속한다. 맞춤형 컨셉 또한 주요 트렌드로서 자동차나 기타 전자제품 시장에서와 마찬가지로 향수제품 또한 소비자에게 선택권을 부여하는 마케팅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다. 프리미엄과 매스 시장에서 비슷한 경향이 나타나고 있는데 Estee Lauder의 Jo Malone 사업부는 Fragrance Combining이라는 자체 마케팅 컨셉을 통해 맞춤형 향수를 제공하고 있고, The GAP은 개개인의 취향에 따라 혼합해 새로운 향기를 낼 수 있는 제품라인인 Scent Editions를 선보이고 있다. 3번째 전략은 음식향 제품으로 먹는 것을 즐기는 미국인들이 칼로리 섭취는 꺼린다는 점에 착안해 친숙한 음식향으로 편안한 분위기를 내는 컨셉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Estee Lauder가 최근 출시한 DKNY Be Delicious의 남성용 버전이 해당제품이다. <화학저널 2005/09/13>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퍼스널케어] LG생활건강, 프랑스와 향수 합작 | 2012-07-25 | ||
| [농화학] ICI, 향료ㆍ향수 사업 전격매각 | 2007-01-08 | ||
| [퍼스널케어] 향수 지적재산권 인정 “논란” | 2004-07-27 | ||
| [염료/안료] 태평양, 향수 전문회사 빠팡 에스쁘아 창립 | 2002-01-03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퍼스널케어] 향수·향료시장 10대가 좌우 | 1996-02-0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