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CR 경쟁력 제고가 “관건”
|
세계수준에 크게 미달 … 저렴한 원료에 기술개발로 승부해야 중국 CR(Chloroprene Rubber) 산업발전을 위해서는 경쟁력 제고가 선행되어야 한다.2004년 중국의 CR 생산능력은 Shanxi Synthetic Rubber Group과 Chongqing Changshou Chemical Plant 양사의 4만8000톤, 생산량은 3만700톤에 달했다. CR 수입은 3만톤을 기록했고 수요는 2005년 6만5000톤에서 2010년 8만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자동차, 건설, 정보통신, 신발, 가구 부문에서 접착제, 벨트, 코팅제, 충전제, 패드 제조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중국은 제조공법이 낙후돼 같은 칼슘 카바이드(Calcium Carbide) 공법을 사용하는 일본 Denki Kagaku Kogyo보다 칼슘 카바이드를 1/3 이상 더 소비하고 있고 제품군이 다양하지 못해 4-5종에 머물고 있으며 내한, 내열, 공중합(Copolymerization) 접착 및 라텍스(Latex) 그레이드는 생산하지 못하고 있다. 2005년 5월10일 중국 재무부(Ministry of Finance)는 일본, 미국, 유럽연합(EU)산 CR에 대해 덤핑 최종판결을 내려 반덤핑관세를 부과했으나 수입의 70%를 차지하는 Denki Kagaku Kogyo 제품에 대한 관세는 2% 상승에 그쳤다.
다만, 국제유가 강세로 부타디엔(Butadiene) 베이스 CR 제조기업들보다 가격경쟁력이 앞서고 있어 체질을 강화하면 국제시장에서도 충분히 승산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편, 2004년 세계 CR 생산능력은 39만3000톤, 생산량은 33만2000톤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표, 그래프: | 세계 주요 CR 생산기업(2005) | <화학저널 2006/04/14>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배터리] 전해액, 중국기업 독주 체제 지속 | 2025-11-14 | ||
| [무기화학/CA] 요소, 중국 수출규제 완화로 안정화 | 2025-11-14 | ||
| [배터리] SKIET, 중국과 분리막 경쟁 “선전” | 2025-11-13 | ||
| [첨가제] 랑세스, 중국 고무첨가제 50% 확대했다! | 2025-11-13 | ||
| [배터리] 음극재, 중국이 글로벌 시장 94% 장악 | 2025-11-1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