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물질 위해성 평가 국제적 인정
|
환경과학원, 4종 대량생산물질 유해성평가 결과 OECD SIAM 통과 국립환경과학원(원장 윤성규)은 OECD의 요청에 따라 2003-04년 탄산바륨(Barium Carbonate), 염화제일철(Iron Chloride), 황산칼슘 이수화물(Calcium Sulfate Dihydrate), 염화 4-메틸벤젠설폰산(4-methylbenzene Sulfonyl chloride) 등 4종의 대량생산 화학물질에 대한 유해성평가를 한 결과가 OECD 전문가회의(SIAM)를 통과했다고 밝혔다.OECD 회원국의 합의를 도출한 화학물질의 위해성 평가보고서는 UNEP(유엔환경계획)을 통해 발간되며, OECD 회원국 간에 신뢰있는 자료로서 공유되기 때문에 한국의 화학물질 위해성 평가 역량이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된 셈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은 4종의 화학물질에 대해 물리화학적 성질, 환경거동, 생태독성, 인체건강독성 등 84개 독성자료를 수집ㆍ분석해 위해성 평가를 했고, 탄산바륨, 황산칼슘 이수화물, 염화 4-메틸벤젠설폰산은 환경 및 인체에 대한 상세평가 우선순위가 낮은 물질로 합의됐으며, 염화제일철은 환경에 대한 노출 가능성은 낮지만 생태독성과 사용용도를 고려해 환경분야 상세평가 후보물질로 권고됐다. 한편, OECD에서는 연간 1000톤 이상의 대량생산 화학물질의 위해성 평가에 필요한 기본정보 및 추가관리방안 등을 회원국간에 공유하기 위해 대량생산 화학물질 평가사업(SIDS)을 수행해 전문가회의(SIAM)에서 각 물질에 대한 추가 연구 우선순위를 평가하고 있다. <화학저널 2006/05/02>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환경] 화학물질, 복합노출 개념으로 규제 | 2025-09-05 | ||
| [환경] 미국, 화학물질 규제 일부 완화 | 2025-08-14 | ||
| [환경] EU, 화학물질 평가 시스템 개편 | 2025-07-11 | ||
| [환경] UN, 화학물질 관리를 표준화한다! | 2025-06-27 | ||
| [환경] GFC, 화학물질관리 세계화 추진 | 2025-01-0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