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 가격급등 칠레 무역적자 확대
|
재경부, 3년 후 톤당 7080달러로 폭등 … 포도ㆍ포도주 수입 별로 한국-칠레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이후 우리나라의 칠레 무역수지 적자는 주요 수입제품인 동(銅) 가격 폭등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재정경제부에 따르면, 한국-칠레 FTA 발효 3년째인 2006년 4월 이후 10개월간 우리나라의 칠레 무역수지 적자규모는 22억3900만달러에 달했다. FTA 발효 직전 1년간(2003년 4월-2004년 3월) 무역수지 적자 8억200만달러보다 179.2% 증가한 것이다. 수출은 15억7600만달러로 FTA 발효 직전 1년간보다 199.6%, 수입은 38억1500만달러로 187.3% 증가했다. 칠레산 수입제품의 79.5%(2006년 기준)를 차지하는 동 국제가격이 상승했기 때문으로, 동 국제가격은 한국-칠레 FTA 발효 직전 1년간 톤당 평균 2050달러에 불과했지만 발효 후 3년째는 톤당 7080달러로 245% 이상 폭등했다. FTA 이후 수출증가율(연평균)은 자동차(51.8%), 무선통신기기(107.6%), 컬러TV(23.5%), 경유(308.5%) 등 공산품 위주로 큰 폭 늘어났고, 수입은 돼지고기(125.3%), 포도(108.8%), 포도주(321.1%), 키위(583.3%) 등 농산물 위주로 확대됐다. 투자실적은 미미했는데, 우리나라의 칠레 투자는 협정 발효 직전 1년간 1480만달러에서 발효 후 1년차에는 230만달러로 급감했고 2년차에는 350만달러, 3년차에는 390만달러로 다시 증가했다. FTA 발효 직전인 2003년 10월 LG전자(500만달러), 11월 대우일렉트로닉스(980만달러) 등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칠레의 한국 투자는 발효 직전 1년간 4만달러에서 발효 후 1년차 710만달러, 2년차 40만달러를 각각 기록했고 3년차에는 투자실적이 없었다. <화학저널 2007/03/26>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페놀, 중국·동남아 부진에 벤젠 약세까지… | 2025-11-12 | ||
| [바이오연료] 롯데에어리퀴드, 고압 수소출하센터 가동 | 2025-11-11 | ||
| [금속화학/실리콘] 케메탈, 혁신 동박 후처리 솔루션 공급 | 2025-11-06 | ||
| [화학경영] SKC, LFP계 ESS 동박 판매 호재로… | 2025-11-06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플래스틱] 포장재, 동남아 펫 시장 성장성 주목… | 2025-11-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