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코크스 수출관세 추가 인상
|
NDRC, 강력한 수출억제 대책으로 … 제철산업 타격 불가피할 듯 중국 정부는 2006년 11월1일부터 석탄, 코크스, 원유 등의 수출에 5%의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한 데 이어 다시 코크스 수출관세율을 대폭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신화통신은 3월23일 국무원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와 해관총서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중국 정부가 코크스 자원 보호를 위해 수출관세율 인상을 검토중이지만 아직 인상률이 확정되지는 않았다고 보도했다. 세계적으로 코크스가 공급 부족상태에 놓여 있는 가운데 중국의 코크스 자원이 앞으로 40년 이내에 고갈될 것으로 추산되기 때문이다. 코크스는 제철산업의 핵심원료로 세계의 모든 제철소에서 소비되는 코크스 총량은 연간 4억2700만톤에 이른다. 2006년 중국산 코크스 수입국은 미국이 248만7500톤, 일본이 230만8500톤으로 1-2위를 차지했고 한국은 14만3888톤, 북한은 1만7643톤을 수입했다. NDRC는 코크스 수출을 억제하는 방안에 대해 타당성도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의 코크스 수출관세율 추가인상 시도는 2006년 11월1일부터 석탄, 원유와 함께 코크스에 대해 5%의 수출관세를 부과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2007년 1월 코크스 수출량이 131만1000톤으로 전년월대비 38.7% 늘어나는 등 수출억제 효과가 없다고 판단한데 따른 것이다. 원유는 국제유가 하락과 수출관세율 부과 등으로 1월 수출량이 30만톤(약 8185만달러)을 기록해 43만톤 감소했고, 2월에는 수출이 전혀 없었다. 2007년 1월 중국산 코크스는 톤당 수출가격이 평균 150.3달러로 세계 시장가격인 171달러보다 20달러 이상 낮았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은 2006년 중국에서 수입되는 주조 코크스에 대해 반덤핑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중국코크스산업협회는 현재의 5% 관세율이 그대로 적용되면 2007년 코크스 수출량이 1350만톤에 이르지만 20%로 인상되면 1000만톤 가량으로, 50%로 인상되면 700만톤 가량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7/03/26>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폴리머] 페놀수지, 중국‧인디아 시장 적극 공략 | 2025-11-12 | ||
| [석유화학] 페놀, 중국·동남아 부진에 벤젠 약세까지… | 2025-11-12 | ||
| [첨가제] 이수스페셜티, 중국에 TDM·NDM 공급 | 2025-11-11 | ||
| [배터리] 양극재, 글로벌 공급망 중국기업 의존도 심화 | 2025-11-11 | ||
| [국제유가] 국제유가, 중국 원유 수입량 증가 “상승” | 2025-11-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