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농약 개발을 지원하라!
|
최지현 박사, 먹거리 50% 이상 수입의존 … 식품안전처도 신설 농수산식품의 품질경쟁력을 높이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식품안전위반업자에 대한 삼진(3진)아웃제를 도입하고 식품안전처(가칭)를 설치해 식품안전정보에 관한 통합정보망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최지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박사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지원위원회와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공동 주최하는 <농수산식품 안전성 확보 및 품질경쟁력 제고> 토론회에 앞서 3월27일 배포한 주제발표 자료를 통해 시장개방에 따라 우리나라의 식품 수입은 1998년 이후 2배 증가하면서 먹거리의 5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특히 위생취약국인 중국산 비중이 매년 증가하면서 전체의 절반이 넘는 55%에 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앞으로 FTA나 도하개발아젠다(DDA)가 타결되면 시장개방이 더 확대돼 소비자의 식품안전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국내 농산물 및 식품의 품질경쟁력을 높이고 안전성을 확보해 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우리나라는 2000년대 들어 농식품 안전성 확보를 위해 위해요소중점관리제도(HACCP),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 등의 안전성관리 프로그램 도입을 추진해왔으나 식품안전의 위험관리, 위험평가, 위험정보교환 등에 있어서 아직 많은 과제가 남아 있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우선 농약ㆍ항생제의 안전사용 교육 및 홍보를 강화하고, 식품안전을 위반하는 농가나 제조업자에 대해서는 삼진아웃제 등을 통해 제제를 강화해야 하며, 범부처간 식품안전정보시스템을 공유하기 위해 식품안전처를 중심으로 통합정보망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문농약 및 친환경농약 개발 지원, 중금속과 미생물 등 위해물질 잔류허용기준 설정 확대, 폐광산 지역 농산물 안전성 관리강화 추진 등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지현 박사는 수입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위생취약국과의 식품안전협력협정(MOU) 체결해 현지 상시검역 및 검사체계 구축, 유해식품 수입업자 처벌 강화 및 등록제 도입도 제시했다. <화학저널 2007/03/28>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페인트/잉크] 강남제비스코, 친환경 페인트 전환 박차 | 2025-10-31 | ||
| [페인트/잉크] 조광페인트, 친환경 기술 혁신 장관 표창 | 2025-10-30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올레핀] 전자소재의 친환경화, 태양광‧배터리‧반도체 친환경 전환이 경쟁력 좌우 | 2025-11-07 | ||
| [반도체소재] 듀폰, 친환경 반도체용 감광재 라인업 강화 | 2025-11-07 | ||
| [플래스틱] 라벨, PET 라이너 전환으로 친환경화 | 2025-10-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