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짝퉁” 방지에는 홀로그램이 최고
|
입체이미지ㆍ컬러변화로 복제 어려워 … 화폐 이어 음반ㆍ인삼 사용 최근 국내기업들이 조직화, 첨단화돼가는 위조 및 변조 행위에 맞서 짝퉁을 방지하고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홀로그램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컬러 복사기술과 컴퓨터를 이용한 스캐너 기술이 발달하면서 상품의 위조 및 변조가 더욱 쉬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새로 발행되는 1만원권과 5000원권 지폐에는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홀로그램이 도안돼 있고, 신용카드에도 카드의 고유한 문양을 표현한 홀로그램이 부착돼 있으며, 붉은 악마 응원복, SM 엔터테인먼트의 음반, 농협의 고려인삼 등 다양한 상품이 홀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다. 홀로그램은 보는 각도에 따라 무늬와 색상이 변하는 얇은 특수필름으로 우리나라 지도, 액면 숫자와 태극 및 4괘 3가지 문양이 번갈아 나타난다. 홀로그램은 2개의 레이저광이 서로 만나 일으키는 빛의 간섭효과를 이용해 사진용 필름과 유사한 표면에 3차원 이미지를 기록한 것으로, 홀로그램의 고유한 특징인 깊이감이 있는 입체 이미지와 독특한 칼라의 변화는 쉽게 복제될 수 없어 소비자들이 쉽게 육안으로 위조품과 정품을 구별할 수 있다. 최근 세계시장에서 우리나라 상품의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우리나라 인기제품을 모방한 짝퉁이 중국이나 동남아 뿐만 아니라 일본, 북미, 중남미, 오스트레일리아, 중동, 동유럽 등 세계 어디서나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한편, 특허청은 기술과 산업발달로 거래사회에서 홀로그램 등 다양한 형태의 상표가 새로 등장함에 따라 홀로그램을 상표권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상표법을 개정했다. 현재 제출서류와 절차 등을 마련해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입법예고를 실시중이며, 2007년 7월1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화학저널 2007/04/03>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기술/특허] 화재 방지에는 불연재가 최고 | 2010-11-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