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 미국수출 확대 가능한가!
|
경쟁력 낮아 관세철폐 한계 … 중국과의 가격격차 20-30% 달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타결에 따라 국내 섬유산업이 재도약할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미국이 수입액 기준으로 한국산 섬유제품의 61%, 품목 기준으로는 87%에 대해 관세를 즉시 없애고 남성 셔츠 등 일부품목에 대해서는 수입 원사를 사용했더라도 한국산으로 인정해 관세를 즉시 철폐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섬유제품의 미국 수출은 2000년 36억달러를 기록한 뒤 해마다 줄어 2006년에는 20억달러 수준으로 급감했다. 그러나 미국 수출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화섬 스웨터, Polyester 단섬유, 면양말이 즉시 관세철폐 대상에 포함됨으로써 수출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특히, 섬유쿼터가 없어지면서 저가의 중국제품에 밀렸으나 한-미 FTA 협정이 발효되면 가격경쟁력이 10% 이상 높아져 중국제품과의 경쟁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다만, 얀 포워드(원사기준) 적용 예외가 우리가 요구한 만큼 관철되지 않아 외국산 저가 원사와 노동력 등을 기반으로 직물을 제조해온 섬유기업들은 미국 수출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 미국시장에서 중국제품과의 가격차가 20-30%에 달하고 있어 평균 13% 가량의 관세인하로 가격경쟁력을 회복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이다. 관세 철폐나 인하로 수출가격을 인하하는 효과가 발생하지만 미국수출에서 우위를 점한 중국, 인디아, 터키, 베트남,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등과 경쟁하기에는 역부족인 것으로 평가되고 때문이다. 중국은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미국시장의 29%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섬유 수출은 2000년 188억달러에서 2006년에는 132억달러로 급감했고 세계시장 점유율도 5.0%에서 2.7%로 급락했다. <화학저널 2007/04/05>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합성섬유] 유리섬유, 중국·일본이 편평형 놓고 대결 | 2025-10-30 | ||
| [EP/컴파운딩] 도레이첨단소재, 항공·우주용 탄소섬유 선도 | 2025-10-21 | ||
| [EP/컴파운딩] HS효성, 중국 탄소섬유 공세 강화 | 2025-09-17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화학경영] 도레이, 중국 섬유‧EP 사업 확대… | 2025-11-07 | ||
| [EP/컴파운딩] 탄소섬유, 복합소재 시장 성장 “가속화” | 2025-10-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