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래스틱, FTA로 수입선 미국 전환
|
산자부, 고업용 세라믹에 탄소섬유까지 … 일본제품 수입의존도 완화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타결로 부품·소재 수입선의 미국 전환과 이에 따른 일본산 수입의존도 완화가 예상된다.산업자원부에 따르면, 한국이 수입하는 부품·소재는 일본과 미국이 크게 겹쳐 미국산 수입이 증가하면서 일본산은 줄어들 가능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섬유, 화학, 금속, 기계, 자동차, 전기·전자 분야의 부품ㆍ소재 수입 상위 50개 품목은 2005년 기준 47%가 일본, 미국이 일치했으며 수입액은 일본산 145억달러, 미국산 83억달러로 집계되고 있다. 수입선 전환 가능품목은 소재에서 플래스틱, 공업용 세라믹, 탄소섬유 등이, 부품은 자동차부품(변속기ㆍ엔진부품 등), 웨이퍼, 집적회로, 통신기기부품, 전자용 화학제품, 정밀기기부품 등으로 분석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미국기업과의 R&D 협력, 투자유치를 통해 선진기술을 획득, 선진국과의 격차 축소 및 개발도상국과의 격차 유지도 전망된다. 특히, 동북아 및 미국 시장 진출을 겨냥한 EU 등 역외국가의 투자유치도 활성화돼 국내 부품ㆍ소재산업의 기술력 제고가 예상되고 있다.
산자부는 미국의 원천기술과 한국의 개발능력이 결합돼 글로벌 공급기지화가 촉진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최근 미국 제조업은 원가 및 품질 경쟁력 약화로 부품ㆍ소재의 생산 및 조달을 중국 등 동아시아 지역으로 이전하려는 움직임을 확대하고 있으며, 미국기업의 부품ㆍ소재 구매 일원화 전략에 따라 국내기업이 공급기업으로 선정되면 세계적으로 공급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표, 그래프: | 한국과 미국의 주력 수출제품 비교 | <화학저널 2007/04/11>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플래스틱] SCG, 플래스틱 포장 사업 확대 | 2025-11-10 | ||
| [바이오연료] 우석이엔씨, 혼합 플래스틱도 친환경화 | 2025-10-24 | ||
| [첨가제] 달걀껍데기, 플래스틱용 항균제화 | 2025-10-23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리사이클] 플래스틱, 리사이클 전략 수립 시급하다! | 2025-10-31 | ||
| [플래스틱] 플래스틱 수출, 중국 중심 예측된 “지각변동” 한국, 직격탄 맞고 휘청거린다! | 2025-10-1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