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산업 노동생산성 개선 수준이하
|
생산성본부, 2005년 6.7%로 평균의 50% 수준 … 플래스틱은 11.1% 2006년 우리나라 제조업의 노동생산성이 전년대비 12.8% 상승했다.산업자원부와 한국생산성본부에 따르면, 2006년 제조업 노동생산성 지수는 156.1(2000년 100)로 상승해 2005년(138.3)에 비해 12.8% 개선됐다. 산출량으로 표시되는 산업생산지수가 148.1로 2005년에 비해 10.5% 상승한 반면 총 근로시간을 나타내는 노동투입량지수은 94.9로 2.1% 하락했기 때문이다. 노동생산성이 가장 크게 상승한 제조업은 봉제의복 및 모피산업으로 26.1% 상승했으며 다음으로 ▲컴퓨터 및 사무용기기(19.5%) ▲담배(19.1%) ▲전자부품ㆍ영상ㆍ음향ㆍ통신장비(18.8%) 순이었다. 반면, 의료ㆍ정밀ㆍ광학기기 분야는 노동생산성이 2005년에 비해 오히려 9.3% 떨어졌고 가구 및 기타 제조업 역시 6.1% 하락했다. 노동생산성 상승을 주도하는 정보기술(IT)분야와 비IT분야의 노동생산성 상승률 격차는 12.9%p로 높은 수준이었고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노동생산성 상승률 격차 역시 9.7%p에 달했다. 그러나 IT부문과 비IT부문의 격차가 2005년 15.8%p에서 12.9%p로 줄었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격차 역시 15.7%p에서 6.0%p로 줄어들었다.
반면, 가구 및 기타 제조(17.2%), 의료ㆍ정밀ㆍ광학기기(12.6%)는 단위노동비용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표, 그래프: | 제조업 업종별 노동생산성 상승률 비교(2005) | <화학저널 2007/05/4>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엔지니어링] 화학산업, 자동화로 현장 혁신하라! | 2025-10-17 | ||
| [정밀화학] 바스프, 지속가능한 화학산업 선도 | 2025-10-02 | ||
| [금속화학/실리콘] 화학산업, 안티몬 공급불안 “긴장” | 2025-10-02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화학경영] 유럽 화학산업 ③, 스페셜티 중심 전환으로 글로벌 리더십 회복한다! | 2025-10-17 | ||
| [산업정책] 유럽 화학산업 ② , 전열화·CCS·탄소중립으로 지속가능 화학산업 구축한다! | 2025-10-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