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첨가물
|
식품첨가물이란 광의의 의미로 볼 때 식품 본래의 구성성분이 아닌 것으로서 식품에 첨가되거나 혼입되는 물질이라 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식품의 제조·유통에 있어서 뚜렷한 사용목적을 가지고 식품에 첨가되는 화학물질을 말한다. 사용목적은 식품의 품질을 높이고 보존성과 기호성을 향상시키며 식품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식품의 제조, 가공, 보존공정에 보통 적은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으로서, 이는 목적없이 식품에 오염된 불필요한 물질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각 나라마다 첨가물의 정의는 조금씩 차이가 있으며, 이에 따라 첨가물의 범위, 관리대상 등이 구체적으로 정해진다. 예를들면 우리나라에서는 영양강화물질을 식품첨가물로 규정하고 있는 반면, 유럽연합(EU)나 국제기구(FAO/WHO)에서는 이를 첨가물로 간주하고 있지 않다. 식품첨가물은 식품위생법에 의거, 반드시 기준규격이 고시된 첨가물만을 사용을 할 수 있는데, 지정품목은 좥식품첨가물공전좦에 수록되어 있다. 97년6월 우리나라 지정품목수는 합성첨가물 378, 천연첨가물 158, 혼합제제 7개로써 총 543품목이다. 62년 6월12일 화학적 합성품이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지정되었을 때 그 품목수는 217종이었지만, 매년 증가하여 80년대초만 하더라도 270여개의 품목이 허가되어 있었으나 84년 가공식품산업의 급격한 성장과 함께 첨가물의 재정비가 이루어지고 자가규격이 정해져 있던 품목들이 재정비되어 일괄 수용됨으로써 지정품목수가 크게 늘어나 총 348품목이 되었다. 표, 그래프 : | 식품첨가물 지정 품목수 추이 | 미국의 식품첨가물 사용비율 | 식품첨가물의 사용목적별 분류 | 식품첨가물의 사용목적별 분류 | 보건복지부 허가 식품업종별 생산현황 | 첨가물제조업 종업원수 현황(1995) | 첨가물 생산품목 현황(1995) | 식품첨가물 수출입 추이 | 첨가물 수입비율(1996) | 첨가물 출하액 추이 | 수입첨가물 검사건수(1994) | <’98 화학연감>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식품소재] 식품첨가물, 어린이용 규제 강화 | 2017-03-08 | ||
| [식품소재] 천연색소, 식품첨가물 수요 증가 | 2016-08-09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식품소재] 식품첨가물, 사용‧유통 규제 완화 | 2020-10-30 | ||
| [식품소재] 식품첨가물, 천연소재 중심으로 안정 성장 | 2018-09-21 | ||
| [퍼스널케어] 식품첨가물, 안전성 확보 위해 규제 강화추세 | 2018-03-2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