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시약
|
보건복지부의 의약품 등 제조업 및 제조(수입) 품목허가(신고) 처리지침에 따르면, 인체에서 유래하는 시료를 검체로 하여 검체중의 물질을 검출 또는 측정하고 인체의 질병 감염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하는 시약을 체외진단용 의약품이라 하고 이를 일반적으로 진단시약이라고 말한다. 세계 진단시약산업의 특징적인 동향을 살펴보면 첫째, 연구개발 투자가 많은 기업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진단시약은 약학, 의학, 미생물학 및 유전공학 뿐만 아니라 첨단 자동검사시스템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자공학, 광학, 로보트공학 및 컴퓨터공학 등 최첨단 기술이 복합적으로 요구되는 첨단산업이다. 또 과거 20여년간 4~5년 주기로 기술혁신이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기술변화가 빠르고 제품수명이 짧다. 따라서 연구개발을 소홀히 한 기업은 도태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둘째, 사업영역의 글로벌화를 들 수 있다. 진단시약은 자국시장만으로는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기 힘들며 투자비용 회수를 위하여 세계시장을 단일시장으로 하는 글로벌화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셋째, 국제적으로 기업의 매각, 인수·합병이 다반사로 행해지고 있다. 표, 그래프 : | 진단시약 생산추이 | 진단시약 생산동향 | 진단시약 생산품목 및 생산액(1996) | 세계 진단시약 상위12사 매출액(1995) | 진단시약 수입실적(1996) | 진단시약 수입현황 | 진단시약 수출현황 | <’98 화학연감>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제약] 제약, 진단시약·치료제 개발 집중 | 2020-04-27 | ||
| [제약] LG화학, 체외진단시약 공략 본격화 | 2017-07-18 | ||
| [제약] 바이오니아, 신종 AI 진단시약 중국 수출 | 2013-04-15 | ||
| [제약] LG생명과학, 진단시약 개발 강화 | 2009-05-14 | ||
| [제약] 유방암 전이 진단시약 최초 승인 | 2007-07-1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