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년 6월 2일
국내 핫멜트접착제 생산기업들이 고전하고 있다.
원료가격 상승 및 수요 침체의 영향으로 수익이 대폭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핫멜트(Hot-Melt) 접착제는 위생용, 포장용, 산업용, 제본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수요는 위생용과 포장용이 각각 8000-9000톤으로 전체의 60% 수준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시장 점유율은 헨켈 39%, MCS 15%, 오공 9%, 삼정산업 6%, 기타 31%로 나타나고 있다. 위생용은 유한킴벌리, P&G, 대한펄프가 주요 수요기업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고도의 기술력이 요구됨에 따라 진입장벽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산업용은 자동차 및 건설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성장 가능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으나 국내수요가 정체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침체가 장기화되고 있기 때문으로, 특히 건축자재용은 내수판매보다 개발도상국에 대한 수출을 중시하는 전략으로 전환하고 있다. 또 핫멜트접착제 생산기업들은 2013년 하반기부터 원료인 EVA(Ethylene Vinyl Acetate) 가격이 상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가 공급을 지속해 수익이 대폭 악화되고 있다. 수요기업이 대부분 대기업이어서 가격 인상이 쉽지 않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여기에 주요 수요기업들이 생산설비를 해외로 이전하기 시작해 장기적으로 침체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자동차용 접착제의 대체수요를 주목하고 있다. 표, 그래프: <핫멜트접착제 시장점유율(2013)><핫멜트접착제 수요비중(2013)>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점/접착제] 핫멜트접착제, UV로 공정 효율화 | 2017-12-05 | ||
| [점/접착제] 핫멜트접착제, 합성고무계 생산 확대 | 2016-11-23 | ||
| [계면활성제] 핫멜트접착제, 자동차 시장공략 강화 | 2015-09-03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점/접착제] 핫멜트접착제 ②, 헨켈 뒤에서 꽁무니만 “졸졸…” | 2016-07-01 | ||
| [점/접착제] 핫멜트접착제 ①, 출산율 저조로 시장이 죽어간다! | 2016-04-2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