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화학]

 

일본 화학산업은 시대의 니즈에 대응하는 기술 및 소재를 공급하며 150년간 사회발전을 뒷받침해온 것으로 평가된다.
일본 화학기업들은 비료, 염료부터 석유화학에 이르기까지 초창기부터 축적해온 다양한 유‧무기 기술을 바탕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특히 스페셜티 화학기업들은 전자소재, 의약‧의료 등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최근에는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를 비롯한 환경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일본 스페셜티 화학기업의 소재 개발능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다이셀, 목재 성분 유효이용 기술 개발
다이셀(Daicel)은 인류가 처음 개발한 열가소성 수지인 셀룰로이드를 생산하면서 셀룰로스(Cellulose) 생성‧가공 기술을 핵심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주력제품인 초산셀룰로스(Cellulose Acetate)는 셀룰로스를 난연화했으나 목재 및 면화 베이스 펄프를 주요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최근에는 생분해성 조절기능 등을 바탕으로 친환경 소재로 제안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셀룰로스 유도제품을 바이오화해 광범위하게 생산할 계획이다.


초산셀룰로스는 벌크 용도로 한정됨에 따라 소품종 대량생산의 성격이 강한 편이다.
셀룰로스는 용매에 잘 녹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여할 수 있는 화학수식의 폭이 좁아 성형가공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다이셀은 새로운 기술을 추가해 프로세스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목재 등의 원료를 손상 없이 분쇄한 후 상온에서 용해하는 기술로 가나자와(Kanazawa)대학, 교토(Kyoto)대학과 공동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기존 프로세스와 달리 고온‧가압이 불필요하고 펄프를 경유하지 않는 이점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상온용해법은 이미 확립단계에 있어 소재 조합, 용해 대상 혼합비율에 따른 기술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있으며, 다이셀은 셀룰로스 화학의 과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하고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한 파인 셀룰로스 실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셀룰로스 이외의 목질성분 유효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직 유효한 이용법이 발견되지 않은 리그닌(Lignin), 헤미셀룰로스(Hemicellulose)는 에틸렌(Ethylene) 수준의 범용성을 기대하기 어려우나 반응성은 충분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분자량 변경, 다양한 화학수식을 통해 기능성 화학제품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산림자원, 농산 폐기물 등의 순환이용체제를 구축함으로써 패러다임을 전환할 방침이다.
상온용해법이 고온‧가압을 필요로 하지 않고 대폭적인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것처럼 앞으로 프로세스를 설계할 때는 지속가능한 생산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화학 플랜트의 주요 이산화탄소(CO2) 발생원은 보일러로 대량생산 시스템에서는 과잉 증기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다이셀은 각종 에너지 절약 시책, AI(인공지능) 도입에 따른 열수지 관리 등으로 대응하고 있으나 근본적으로는 대량생산에서 벗어나 적정량 생산을 실용화해야만 탄소중립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다이셀은 2030년부터 개별 주문생산 시스템을 도입하고 프로세스를 다운사이징함으로써 적정량 생산을 실현할 계획이며 초소형 블록형 모듈 플랜트를 목표로 도쿄(Tokyo)대학 등 연구기관과 함께 마이크로 유로, 마이크로 리액터를 개발하고 있다.
다이셀은 앞으로 기능성 소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으로써 라이프사이클이 짧아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다품종 소량생산, 적정량 생산 및 지속가능한 프로세스 실현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닛폰소다, ICT‧헬스케어‧환경 중점 육성
닛폰소다(Nippon Soda)는 창립 100주년을 맞은 2020년 10개년 장기비전을 수립함과 동시에 3개년 경영계획을 시작해 ICT(정보통신기술), 헬스케어, 농업, 환경을 중점분야로 설정하고 화학제품 사업은 기술력을 활용해 스페셜티 분야를 강화할 계획이다.
닛폰소다는 장기간 축적한 기술과 노하우를 베이스로 개발한 폴리머 기술 Living Anionic Polymerization으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가운데 성장분야를 공략하기 위해 폴리머 주변사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특히 ICT 분야를 타깃으로 하고 있다.
Living Anionic Polymerization을 응용한 액상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은 1,2-Vinyl 구조가 매우 많아 가교반응성, 안정성이 뛰어나며 최근에는 내열성, 전기특성에 대한 니즈에 따라 5G(5세대 이동통신)용을 중심으로 전자소재 분야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환경부하 경감에 대한 요구에 대응해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은 에폭시화(Epoxidation) 그레이드 공급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다.
pHS(Poly(4-Hydroxystyrene))는 분자량 분산도가 좁고 균일함에 따라 기능발현 측면에서 경쟁우위를 점하고 있어 주로 반도체 KrF 포토레지스트 소재로 공급하고 있으며 2018년 설비를 증설했다.
최근에는 니즈 고도화에 대응해 더욱 정밀하게 설계한 고기능성 신규 폴리머를 개발하고 있고, 2021년 가을에는 연구개발(R&D)을 가속화할 목적으로 고압가스에 대응한 실험설비를 도입해 운용을 시작했다.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셀룰로스에 PO(Propylene Oxide)를 반응시킨 셀룰로스 유도제품 HPC(Hydroxypropyl Cellulose)를 공급하고 있다. 주로 고형제 결합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유효성분의 용해성 개선, 유효성분을 천천히 방출하는 서방성 기능을 활용하고 있다. 2021년 7월에는 의약품 및 건강식품 시장 성장에 대응하기 위해 설비를 증설했다.
2020년 6월 윤택제이면서 정제경도 개선 및 붕괴시간 단축이 가능한 첨가제 SSF(Sodium Stearyl Fumarate)를 도입했고, 이후 HPC와 SSF를 조합해 구강 내에서 붕괴되는 정제를 고기능화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닛폰소다는 2019년 치바(Chiba) 연구소에 HPC의 가치를 수요기업과 함께 창출하는 협업시설 Cellulose Technical Application Center(CTAC)를 설치하고 수요처 니즈에 대응한 솔루션 공급, 신규 어플리케이션 제안을 본격화하고 있다.
최근 니즈가 높아지고 있는 셀룰로스계 코팅제와 관련해서는 2022년 하반기 출시를 목표로 코팅 베이스 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HPC-SL60을 개발하고 있다.
사업개발추진실은 기존사업의 연장선상에 존재하지 않는 신제품 개발에 힘을 기울이고 있는 가운데 시안화수소(Hydrogen Cyanide) 취급기술을 베이스로 농약 사업에서 축적한 합성기술을 응용해 대학 및 외부기업과 공동으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분야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열활성화 지연형광(TADF) 화합물도 사업화를 검토하고 있다.
TADF 화합물은 이론적으로 발광효율이 100%로 25%인 형광, 75%인 인광에 비해 매우 높은 유기화합물이어서 인광에 사용하는 인듐이 필요하지 않아 코스트 및 안정공급 측면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닛폰소다는 후보 화합물을 선정한 후 수요와 코스트 측면에서 과제 해결에 주력하고 있으며 의약, 환경 분야에 대응하면서 외부기관과 연계해 사업영역을 확충할 방침이다.

 

사카타, 바이오매스 활용에 고기능화 강화
19개국에서 인쇄잉크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사카타잉크(Sakata Inx)는 2021년 2월 장기 성장전략 Sakata Inx Vision 2030을 발표하고 환경‧바이오, 에너지, 일렉트로닉스, 옵토 케미칼을 주력분야로 설정하고 신규사업 대책을 본격화하고 있다. 
주력인 인쇄잉크 사업은 원료 조달 및 조합부터 일관생산체제를 구축하고 있는 가운데 장기비전을 위한 경영계획 2023을 통해 해외사업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식용으로 사용되지 않는 바이오매스 소재를 채용한 인쇄잉크 브랜드 Botanical Ink는 일본 필름 패키지용 잉크 시장 점유율이 30%를 넘고 있으며 보급 확대 및 바이오매스 성분 함유율 향상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기능성 소재 부문에서는 잉크젯 잉크, 분체토너, 디스플레이용 표시소재를 공급하고 있다.  
기존기술에 비해 적용영역이 매우 광범위한 잉크젯 인쇄는 노즐 직경이 마이크로미터 수준으로 미세하고 토출량을 약 1피코리터로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높은 수준의 분산기술 및 품질이 요구되고 있으나 범용성이 뛰어나고 판밑 및 제판작업이 불필요함에 따라 내구소비재, 공업용 등으로 영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세계적으로 품질 측면에서 우위성을 확보한 표시소재는 액정 대형화 등 기술 트렌드에 대응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사카타잉크는 5개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인쇄잉크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수지 합성기술을 베이스로 오래전부터 우레탄(Urethane) 수지를 인쇄잉크용 소재로 채용하고 있으며 인쇄소재에 대한 전이‧고착과 관련된 폴리머 설계에서 강점이 두드러지고 있다.
마이크로미터 수준으로 매우 얇은 박막으로 색채 및 기능성을 실현하는 인쇄잉크를 개발‧생산하면서 안료 등을 미세하고 균일하며 안정적으로 분산하는 분산‧가공기술, 이미지 및 기능을 박막으로 성형하기 위한 인쇄‧코팅 평가기술을 확립했다.
여기에 고품질 인쇄를 위한 이미지 처리기술과 분광광도계, 컴퓨터를 이용해 색을 절대값으로 관리하는 색채기술을 조합함으로써 고도화 니즈에 대응하고 있다.
최근에는 탄소중립을 위해 일본 탄소회수기술연구기구(CRRA)와 공동으로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CO2)를 이용해 유기화합물을 합성하는 기술 개발에 착수했으며, 도쿄 공장에서는 이산화탄소 베이스 인쇄용 잉크 용제를 개발하고 있다.
또 굴절률을 조절함으로써 LED(Light Emitting Diode) 광추출효율 향상 등이 가능한 굴절률 조절 소재를 전략제품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센서 수요 확대에 대응해 Wonder Future(WFC)의 무손상 부품 실장기술인 저내열 접합기술을 함께 공급하고 있다.
일렉트로닉스 케미칼 영역은 1992년 전자기기 등의 수출입을 담당하는 해외사업부를 분사한 시크스(SIIX)와의 제휴를 강화하고 있다. 시크스는 EMS(전자기기 위탁제조)를 사업화함으로써 자동차 탑재용 분야에서 세계적인 인지도를 갖추고 있다.
앞으로는 소재 개발능력과 WFC 부품 실장기술의 시너지 창출에 따라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J)


표, 그래프: <다이셀의 탄소중립·바이오매스 밸류체인 관련대책, 사카타잉크의 성장 비전(2030)>

구독신청
한줄의견
평점 선택
(0 / 500 글자)
관련뉴스
화학뉴스
화학뉴스 목록 - 화학뉴스목록으로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를 나타내는 테이블입니다.
제목 날짜 첨부 스크랩
[기술/특허] 롯데케미칼, 스페셜티로 유럽 공략 2025-10-02  
[금속화학/실리콘] 이수스페셜티, 황화리튬 공장 건설 2025-09-08  
화학저널
화학저널 목록 - 화학뉴스목록으로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를 나타내는 테이블입니다.
제목 날짜 첨부 스크랩
[석유화학] 석유화학 재편 ② - 일본, 통폐합에 차별화 강화 스페셜티도 안심 못한다! 2025-09-26  
[산업정책] 싱가폴, 스페셜티 국가전략 강화 2025-09-19  
[화학경영] 일본, 화학 적자에 스페셜티 흑자 2025-09-12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주식회사 화학경제연구원(이하 "회사")은 회사가 운영하는 인터넷 사이트(http://www.chemlocus.com, 이하 "켐로커스") 및 책자로 발간되는 "화학저널"을 이용하는 이용자님들의 개인정보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아래와 같은 취급방침을 가지고 있습니다. 목 차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10. 고지의 의무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무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선택: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주소 유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정보, 맥어드레스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사업자등록정보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회원 아이디, 비밀번호, 접속IP정보, 맥어드레스 - 회원 유무의 확인 및 이용자 식별을 위함 (3) 이메일,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팩스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이벤트 안내 및 상품 발송,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4) 주소 : 서비스 이용에 따른 상품 배송을 위함 (5) 부서명, 직위, 관심분야: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6)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 정보 :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와 환불처리, 세금계산서 발행, 금융거래 본인 인증 및 금융 서비스를 위함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또한 개인정보가 제3자에게 제공된 경우에는 제3자에게도 파기하도록 지시합니다. 단, 다음의 정보에 대해서는 아래의 이유로 명시한 기간 동안 보존합니다. - 보존항목 : 이름, 로그인ID, 비밀번호, 비밀번호 질문과 답변,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회사명, 부서, 직책, 회사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결제기록 - 보존근거 : 재가입이나 연장 때 필요 - 보존기간 : 회원가입 시점 후 5년, 탈퇴 및 삭제요청시 즉시 파기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1) 파기절차 : 회원님이 회원가입 등을 위해 입력하신 정보는 목적이 달성된 후 별도의 DB로 옮겨져(종이의 경우 별도의 서류함) 내부 방침 및 기타 관련 법령에 의한 정보보호 사유에 따라(보유 및 이용기간 참조) 일정 기간 저장된 후 파기되어집니다. (2) 파기방법 : 전자적 파일형태로 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삭제합니다.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회원은 언제든지 등록되어 있는 회원의 개인정보를 열람하거나 정정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의 개인정보에 대한 열람 또는 정정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마이페이지 > 회원정보관리』를 클릭하여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치신 후 직접 열람 또는 정정하거나, chemj@chemlocus.com, 02-6124-6660~8 내선 202로 연락하시면 지체 없이 조치하겠습니다. 회원이 개인정보의 오류에 대한 정정을 요청하신 경우에는 정정을 완료하기 전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 또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또한 잘못된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이미 제공한 경우에는 정정 처리결과를 제3자에게 지체 없이 통지하여 정정이 이루어지도록 조치하겠습니다. 단, 다음의 경우에는 개인정보의 열람 및 정정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본인 또는 제3자의 생명, 신체, 재산 또는 권익을 현저하게 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 - 당해 서비스제공자의 업무에 현저한 지장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 법령에 위반하는 경우 등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켐로커스"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취급함에 있어 개인정보가 분실, 도난, 누출, 변조, 또는 훼손되지 않도록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대책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1)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본인 이외의 다른 사람이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 기능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공공장소에서의 인터넷사용 등 여러 방법으로 타인에게 알려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의 보호를 철저히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그러므로 이용자께서도 개인의 정보를 타인에게 유출시키거나 제공하여서는 아니 되며, 자신의 개인정보를 책임 있게 관리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비밀번호 등의 유출에 대해서는 "켐로커스"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2) 이용자의 파일 및 전송 데이터, 계좌번호, 이용자 식별 정보 등의 중요한 데이터는 암호화하여 별도의 보안기능을 통해 보호하고 있습니다.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켐로커스"는 이용자에게 다양하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찾아내는 쿠키를 사용합니다. 쿠키란 웹사이트서버가 사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게 전송하는 소량의 정보입니다. 쿠키는 이용자의 컴퓨터는 식별하지만 이용자를 개인적으로 식별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쿠키에 대한 선택권이 있습니다. 이용자의 웹브라우저를 조정함으로써 모든 쿠키를 다 받아들이거나, 쿠키가 설치될 때 통지를 보내도록 하거나, 아니면 모든 쿠키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쿠키의 저장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켐로커스"에서 로그인이 필요한 일부 서비스는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켐로커스"는 원활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위하여, 최소한의 제한된 범위에서 개인정보를 위탁 관리하고 있습니다. 보유 및 이용기간은 회원 탈퇴 및 위탁 계약 만료 시까지이며 위탁 계약 시 개인정보가 안전하게 관리 될 수 있도록 관련 사항들을 별도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수탁사수탁 업무 및 목적보유 및 이용기간
미래 이포스트상품 배송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LG U+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홈페이지코리아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한 회원님들의 의견과 불만을 제기할 수 있도록 고객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의견을 주시면 접수 후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조치하여 처리 결과를 통보해드립니다. 회원님과 켐로커스가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하여 분쟁이 발생한 경우 정부에서 운영중인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www.cyberprivacy.or.kr)에 그 처리를 의뢰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대검찰청 인터넷 범죄수사센터 (http://icic.sppo.go.kr/02-3480-3600) 경찰청 사이버테러 대응센터 (http://www.ctrc.go.kr/1566-0112)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관리책임자를 지정하여 이용자들의 개인정보에 관련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용자께서 "켐로커스"에 개인정보와 관련한 문의, 의견, 불만을 제기하고자 하실 경우에는 아래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인정보 관리 책임자 : 서경선 상무 sks@chemlocus.com 10. 고지의 의무 현 개인정보 취급 방침은 2016년 1월 4일부터 시행합니다. 또한, 개인정보취급방침에 변경공고일자 및 그 시행일자 등을 부여하여 개정여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취급방침 변경 공고 일자 : 2015년 12월 28일 개인정보 취급방침 시행일자 : 2016년 1월 4일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11년 2월1일]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