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가소제 가소제는 화학구조에 따라 크게 Phthalate계를 비롯해 지방산계, Mellitate계, 에폭시계, 인산계, 고분자가소제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내열성, 내한성, 난연성, 내이행성, 내후성과 같은 특성에 의한 분류도 가능하며 상용성에 따라 수지와의 상용성이 좋아 단독 사용이 가능한 1차 가소제, 상용성이 떨어지거나 1차 가소제와 병용해 사용하는 2차 가소제로도 구분할 수 있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가소제는 DOP(Dioctyl Phthalate)와 함께 1차 가소제로 분류되는 DINP(Di-Isononyl Phthalate)와 2차 가소제로 분류되는 DIDP(Diisodecyl Phthalate), DBP(Dibutyl Phthalate), DOA(Dioctyl Adipate) 그리고 TOTM(Trioctyl Trimelitate) 등이 있다. 국내 가소제 생산능력은 애경유화 37만톤, LG화학 24만톤, 한화석유화학 8만5000톤, 동양제철화학 10만톤, 애경공업 1만톤, 송원산업 5000톤 등으로 약 80만톤에 이른다. 표, 그래프 | 가소제 수급동향 | PVC 수급동향 | 주요 가소제의 가공물성 | 가소제 생산동향 | INA 수입추이 | | Adipic Acid 수급동향 | 가소제 원료 가격변화(2004) | 가소제의 용도 및 특성 | <화학저널 2005/6/6>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환경] 폐기물, 규제에서 순환으로 전환… | 2025-07-25 | ||
[무기화학/CA] 요소, 중국 수출 규제에 대응하라! | 2024-12-20 | ||
[폴리머] 합성수지, 수입 규제에서 제외했다! | 2024-04-2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플래스틱] 플래스틱 국제협약 ②, 플래스틱에 화학제품 포함 생산규제에 리사이클 “공방” | 2025-09-26 | ||
[정밀화학] 불소화학, 유럽 규제에 중국 급부상 일본은 탈중국화 강화한다! | 2024-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