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과잉에 2000달러대 약세 … 롯데케미칼 11만톤 증설
PC(Polycarbonate)는 아시아 가격이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아시아 PC 가격은 최근 톤당 2000달러 이상 수준을 나타내고 있으나 1년 전과 비교하면 50% 가까이 폭락한 수준이며 앞으로도 반등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가격하락은 2018년 이루어진 중국의 대규모 신증설, 자동차용 수요 감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으며 2019년에도 신증설 프로젝트를 다수 진행하고 있어 공급과잉 상태가 해소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반면, 원료 BPA(Bisphenol-A)는 공급 증가량이 소폭에 그쳐 PC-BPA 스프레드가 갈수록 축소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PC 가격은 2018년 봄 3800-3900달러 수준을 형성한 후 수요가 감소한 영향으로 하락하기 시작해 줄곧 약세를 형성하고 있다.
중국의 스마트폰 출하대수가 감소했고 자동차 생산·판매대수가 감소경향을 나타내는 상황이 계속되면서 현지 거래가 격감한 것으로 파악된다.
PC는 투명성, 경량성, 내충격성, 내열성, 성형성 등이 우수해 자동차 내외장 부품 및 헤드램프 렌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수요가 감소한 반면 공급은 크게 증가함으로써 직접적인 하락요인으로 작용했다.
중국은 2018년 대규모 신증설을 잇따라 진행했고 최소 34만톤 수준의 신증설 설비가 상업가동에 돌입한 것으로 파악된다.
산둥성(Shandong)에서는 Wanhua Chemical이 8만톤, Lihua Group이 13만톤, Luxi Chemical이 13만톤을 확대하는 등 8월 이전에 34만톤이 상업가동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글로벌 PC 수요는 450만톤 수준으로 추정되며 생산능력은 2018년 대대적으로 진행된 중국의 신증설에 따라 500만톤을 넘어선 것으로 파악된다.
2019년에도 PC 신증설 프로젝트가 다수 진행되고 있다.
세계 최대의 메이저인 코베스트로(Covestro)가 상하이(Shanghai)에서 디보틀넥킹으로 생산능력 5만톤을 확대할 계획이고, 롯데케미칼은 여수에서 11만톤을 증설할 방침이다.
롯데케미칼은 2017년 원료 경쟁력과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기 위해 울산 M-X(Meta-Xylene) 공장과 여수 PC 공장 증설에 3675억원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M-X는 2019년 하반기 완공을 목표로 생산능력을 16만톤에서 36만톤으로 확대한다.
M-X는 고수익제품인 PIA(Purified Isophthalic Acid)의 원료로 투입하며 롯데케미칼이 글로벌 생산능력 1위를 차지하고 있으나 원료가 부족해 가동률을 70% 수준으로 유지해왔다.
PC 플랜트는 생산능력을 10만톤에서 21만톤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증설 후 PC 생산능력은 자회사인 롯데첨단소재 24만톤을 포함 총 45만톤 체제로 확대하며 2020년 글로벌 3위권에 진입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국에서도 2019년 Shengtong이 10만톤, Sichuan Bluestar가 10만톤, 허베이성(Hebei)에서 7만톤 등 27만톤에 달하는 신규 플랜트가 상업가동에 돌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PC 신증설이 잇따르고 있는 반면 BPA 생산능력은 타이완 Changchun이 중국에서 계획하고 있는 13만5000톤 프로젝트를 제외하면 2019년 신증설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코베스트로와 Lihua Group 외의 PC 생산기업들은 BPA를 외부에서 조달하고 있어 BPA 생산 확대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는 원료 조달에 난항을 겪을 수밖에 없는 상태이다.
BPA는 아시아 가격이 1450-1500달러 수준을 형성하고 있으며 PC가 50% 정도 폭락한 것과 달리 BPA는 하락폭이 20%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
최근에는 PC와 BPA의 스프레드가 BPA가 2000달러 이상으로 최고가를 형성했던 2018년 봄에 비해 500-600달러 정도 축소된 수준을 나타내고 있으며 최근 10년간 평균 스프레드 850달러보다도 낮은 것으로 파악된다.
PC는 2020년 이후에도 중국과 사빅(Sabic) 등의 신증설이 계속 이어질 예정이어서 공급과잉 상태가 장기화된다면 일부 프로젝트는 수정 혹은 연기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강윤화 선임기자>
<화학저널 2019년 6월 24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