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츠비시케미칼(Mitsubishi Chemical: MCH)이 차세대 디스플레이용 뱅크 소재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미츠비시케미칼은 차세대 디스플레이용 발광소재의 격벽을 지원하는 뱅크 소재 채용실적을 확대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용으로 투입해온 투명뱅크를 대체할 수 있도록 블랙뱅크 소재를 제안하고 있으며 스마트폰, TV, 자동차 용도를 개척하고 있다.
잉크젯 도포 방식에 대응할 수 있는 뱅크 소재 개발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잉크젯 대응 소재는 높은 발액성을 갖추었고 투명 혹은 블랙으로 모두 제조할 수 있으며 먼저 투명뱅크를 대체하는 용도로 투입한 후 블랙뱅크화할 예정이다.
저온 경화형 뱅크 소재 개발도 진행하고 있으며 수요기업의 생산공정을 효율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츠비시케미칼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의 RGB(적색‧녹색‧청색) 혼색을 막고 백라이트 번짐을 방지하기 위해 대비(Contrast)를 향상시키는 용도로 투입하는 블랙 레지스트 분야의 최대 메이저이다.
OLED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역시 발광소재의 혼색을 막기 위해 뱅크 소재를 사용하며 현재는 제조가 간편한 투명뱅크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블랙뱅크로 바꾸면 외광 반사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비 향상 효과도 더 우수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미츠비시케미칼은 폴더블(Foldable) 스마트폰과 TV,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시장을 타깃으로 블랙뱅크를 제안하고 조기에 채용실적을 거두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잉크젯 방식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용 뱅크 소재를 개발하는데에도 주력하고 있다.
잉크에 대한 발액성을 갖춘 투명뱅크와 블랙뱅크를 모두 개발해 제안할 계획이며 먼저 기존 투명뱅크가 투입된 용도를 대체하면서 점차 강점을 갖춘 블랙뱅크 채용을 늘려나갈 방침이다.
잉크젯용 뱅크 소재는 잉크액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 수준의 높이를 필요로 하지만 블랙 레지스트는 막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포토리소그래피로 빛을 하부까지 전달할 수 없게 되고 경화가 어렵다는 과제가 있다.
이에 미츠비시케미칼은 LCD 분야에서 압도적인 시장점유율을 장악한 후막 패터닝 블랙컬럼 스펜서(BCS)를 활용해 일정 높이를 갖추고 발액성까지 확보한 블랙뱅크를 개발했다.
현재 여러 분야에서 채용 확정 가능성이 높은 상태이며 이르면 2022-2023년형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탑재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패널 생산기업의 공정 효율화에 기여할 수 있는 저온 프로세스 대응 뱅크 소재도 개발하고 있다.
차세대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구조가 검토되고 있고 뱅크 소재를 포함해 레지스트 소재가 저온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면 연속공정 처리가 가능해져 공기를 단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