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상장기업들은 202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면에서도 영업이익이 25% 증가했으나 4곳 중 1곳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내지 못할 정도로 어려웠던 것으로 집계됐다.
반도체, 가전 등 일부 코로나 수혜 업종과 상위기업의 영업이익 증가가 두드러진 가운데 양극화가 뚜렷해진 것으로 평가된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코스피·코스닥 비금융 상장기업 1017사의 별도(개별) 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2020년 국내 상장기업 매출액은 1076조1000억원으로 2019년 1093조원에 비해 1.5%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67조300억원으로 2019년 53조9000억원에 비해 24.9% 급증가했다.
2019년 영업이익이 급감한데 따른 기저효과와 코로나19 반사이익을 누린 반도체, 가전 등 주력산업의 이익률 개선 때문으로 판단된다.
한국경제연구원은 K자형 양극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상장기업 매출액 최상위 20%와 최하위 20%의 평균 매출액 비율은 2019년 266.6배에서 2020년 304.9배로 확대됐다. 매출액 상·하위 20%의 평균 영업이익 차이도 2019년 2386억원에서 2020년 3060억2000만원으로 28.3% 늘어났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내지 못하는 이자보상배율 1미만도 2019년 249사에서 2020년 255사로 6사 늘어났고 전체 상장기업의 25.1%에 달했다.
양극화는 업종별로도 뚜렷했다.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요 증가에 따라 의료·제약은 영업이익이 125.7% 급증했고 전기·전자(64.0%), 음식료(27.4%), 소프트웨어·인터넷·방송서비스(18.6%) 등 비대면 수혜 업종의 영업이익도 크게 증가했으나 유통·대면서비스(-26.4%), 사업서비스(-39.1%) 등 서비스 업종과 기계(-72.8%), 운송장비(-38.7%), 철강·금속(-37.8%), 화학(-27.1%) 등 전통 제조업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상장기업 종업원 수는 108만명으로 2019년 109만1000명에 비해 1만1000명 줄었다. 화학 분야가 6665명(-7.5%) 줄어들었고 유통·대면서비스에서 5794명(-6.0%)이 줄어드는 등 영업이익이 줄어든 업종에서 종업원 수 감소가 두드러졌다.
SW·인터넷·방송서비스(2129명), 통신(1106명), 음식료(1012명) 등은 영업이익이 증가했음에도 종업원 수가 감소했다. 종업원 수가 늘어난 업종은 전기전자(4749명), 운송장비(2946명), 의료제약(1156명), 전기가스(265명) 등 4개에 불과했다.
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정책실장은 “상장기업 영업실적이 양호해 보이지만 코로나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며 “활력 제고를 위해 규제개혁 등 적극적인 정책지원이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