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물질안전원이 가상현실(VR) 기술을 활용한 화학테러 대응 훈련에 나선다.
환경부 소속 화학물질안전원은 VR 기술로 화학테러에 대응한 훈련을 실시할 수 있는 시설을 최근 개발하고 5월부터 시범운영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내 유일의 화학테러 대응훈련 시설로, 총 10개월의 연구를 거쳐 개발했으며 국내 연구진의 자문과 해외 사례 분석 등을 거쳐 실제와 같은 화학테러 상황을 연출하고 대응 훈련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화학테러 대응전문가, 경찰특공대원, 폭발물 처리반, 소방관 등 4개 직업군에서 최대 6명이 동시에 합동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일례로 테러범들이 일반 주택가에서 폭탄 원료물질을 제조하는 불법실험실을 경찰특공대 등 유관기관이 급습하는 과정을 현실과 흡사한 가상환경으로 구축했다.
부비트랩, 드럼폭탄 등 돌발상황을 재현해 실제 테러 상황을 고려한 훈련이 가능하며 폭발물 해체, 유독물질 안정화 및 수거 등의 역할 훈련도 실제와 흡사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했다.
화학테러 때 볼 수 있는 유독물질 확산이나 폭발음, 화재 등의 복합적인 상황이 가상현실로 구현돼 현실감을 높인 훈련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화학물질안전원은 화학테러 대응 훈련시설에 도입된 다중협업 가상현실 시스템, 화학물질처리 시스템, 돌발훈련용 시스템 등 세부 기술을 5월 특허 출원하고 기술이 필요한 기관에 공유해 활용도를 넓힐 예정이다.
신창현 화학물질안전원 교육훈련혁신팀장은 “앞으로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해 학생 등 민간을 대상으로 하는 유해화학물질 대피 체험 훈련과정도 개발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