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view - 한문희 바이오벤처협회장 겸 프로테오젠 사장
◆ 최근 생물산업이 부각되고 있는 이유는? ● 생물산업이 부각되고 있는 것은 기간산업, 즉 석유화학산업의 정체와 한계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으며, 1972년 로만클럽에서의 논의를 시작으로 리우환경회의에서 「환경보존과 지속개발의 원칙」을 근거로 환경친화적 산업군에 눈을 돌리면서 생물산업이 급속도로 부각되기 시작했습니다. 또 환경비용의 증가와 지식기반사회로의 이동도 영향을 미쳤다고 봅니다. 기간산업의 정체가 모든 산업의 동반 침체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산업군의 출현을 의미하는 것이며, 환경비용이 저렴한 산업, 지식을 이용하는 산업, 대체기술을 요구하는 산업군으로의 이동을 뜻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기존 기간산업인 기계, 화학산업 등의 기간산업과 전자산업이 접목된 형태인 생물산업, 즉 신산업군의 부각이라는게 적절한 표현이라고 생각합니다. ◆ 기간산업과 생물산업의 구조적 차이는? ● 기존의 기간산업은 Berthical한 능력이 중시되는 산업으로 완제품을 먼저 생각하고 완제품 위주의 Plat-form 구축, 완제품 위주의 Tool-Box 구축이라는 접근을 이용한 반면, 생물산업은 Tool-Box를 먼저 구축하고 이에 따른 Plat-form을 구축해 다양한 완제품을 개발하는 접근을 시도하고 있는 것이 차이점입니다. ◆ 생물산업에 있어 바이오 벤처기업의 역할은? ● 한마디로 표현하기는 곤란하지만 기술의 물류체계를 구축하는데 있어 바이오 벤처기업은 요소기술과 원천기술을 제공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기업은 Marketing 능력과 System 운용능력이 우수한 반면, 바이오 벤처기업은 공통기반기술 개발이 유리하기 때문에 대기업에서의 원천기술 개발에 따른 개발비용, 실패위험, 제품화까지의 장시간 소요라는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완충역할의 주체라고 생각합니다. <화학저널 2001/6/11>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농화학] INTERVIEW: 희성엥겔하드 대표이사 사장 임의신 | 2003-03-0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페인트/잉크] CEO INTERVIEW - 양정모 DPI 사장 | 2003-02-24 | ||
[화학경영] CEO INTERVIEW - 박준곤 동남합성 대표이사 | 2002-08-19 | ||
[합성섬유] Interview/한국원사직물시험 연구원 김호철 원장 | 2002-04-22 | ||
[첨가제] INTERVIEW-이수연 한국산업가스 대표이사 | 2002-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