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수화학, TDM 사업 세계화한다! 일본의 유기유황화합물 시장이 중합조정제용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공동화 영향이 뚜렷해지고 있다.일본시장에 중국제품 침투가 진행되는 한편, 일본 및 유럽·미국에서는 플랜트 가동을 중지하고 사업에서 철수하는 관련기업이 나타나는 등 공급구조의 변화 움직임이 강해지고 있다. 용제, DMSO 수요신장 계속 DMSO(Dimethyl Sulfoxide)는 세계적으로는 주로 의약합성용 반응용매와 도료 박리제로 사용되고 있지만 일본에서는 액정, 포토레지스트 세정, 박리제 등 전자재료 용도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일본에는 Toray Finechemical이 독점적으로 공급하고 있지만 중국에는 여러 개의 DMSO 생산기업이 있어 염안료 용제용 등으로 아시아 공급을 추진하고 있으며, 일본시장에도 수십톤 단위로 수출하기 시작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DMSO는 Ethyl Alcohol보다도 안전성이 높은 고융점 극성 용제로 유기 및 무기화합물을 잘 녹이고, 재활용에도 적합하게 나타나는 등 자원 재이용형 특성도 보유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이미 아크릴섬유 등의 중합방사용 용매로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수요가 80톤으로 대부분 전자재료 세정·박리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안전성과 재활용성 면에서 다른 용제를 대체하는 양상은 계속되고 있지만 수요처의 사용법(원단위) 숙련과 재활용 증가(수요의 1/3 정도)로 합성제품 자체의 수요신장은 둔화되고 있다. Toray는 도료 박리제, 기계 세정제용 용도개척을 강화하고 있고, 또 TFT-LCD 액정의 생산이 크게 신장하고 있는 타이완에는 현지 자본과 연결해 재활용센터를 설치하는 등 영업체제를 정비함으로써 일본제품 수출이 1000톤에 달하고 있다. 표, 그래프 | 일본의 유기유황화합물 수급현황 | <화학저널 2003/12/1>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바이오연료] 고형연료, RPF 시장 확대 가능성 | 2025-10-24 | ||
| [배터리] LiB, NTO로 버스·트럭 시장 공략 | 2025-10-24 | ||
| [제약] LG화학, 확대되는 난임 시장 공략 본격화 | 2025-10-23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EP/컴파운딩] 탄소섬유, 복합소재 시장 성장 “가속화” | 2025-10-24 | ||
| [석유정제] 액침냉각, 42조원대 시장으로 급성장한다! | 2025-10-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