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출 채산성 악화 구조조정 불가피…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및 PS(Polystyrene) 시장은 1990년대 중반 이후 수요둔화와 공급과잉, 그리고 원료가격 급등으로 수익성이 현저히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생산기업들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수출로 연명하고 있다. ABS 및 PS 시장은 전반적인 생산제품-원재료 Spread 악화 상황에서 내수의 뒷받침 없이 중국 수출이라는 한쪽 엔진에만 의존하는 불균형적인 성장 구조가 장기발전에 있어 취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기술개발을 통한 품질고급화와 과감한 구조개혁이 궁극적 해결책으로 제시되고 있다. 국내 ABS 생산능력은 최근 4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해 2004년 기준 LG화학 50만톤, 제일모직 40만톤, 한국BASF 25만톤, 금호석유화학 22만톤으로 총 137만톤에 달하고 있다. 국내 ABS 시장은 극심한 공급과잉이 지속되고 있는데 2004년 생산능력 137만톤에 생산은 113만톤에 달한 반면 국내수요는 23만톤에 그쳐 수출의존도가 80%에 육박했다. 특히, 중국수출은 전체 수출량의 40%를 상회하고 있다. 표, 그래프 | ABS 수급밸런스 | ABS 수출동향 | PS 수급밸런스 | PS 수출동향 | ABS 및 원재료 가격변동 비교 | 유가와 ABS 원료코스트의 연동성(2000-04) | ABS 가격 및 연료비의 연동성(2000-04) | 유가 1달러 상승시 ABS 수익성의 영향 | ABS Spread와 유가 변화(2000-04) | PS 및 원재료 가격변동 비교 | SM-PS 가격연동성(2000-04) | 유가 1달러 상승시 PS 수익성의 영향 | PS Spread와 유가 변화(2000-04) | 국제유가 전망 | SM 및 PS·ABS 가격전망(2004) | A사의 ABS 수익성 변화 | B사의 ABS 수익성 변화 | A사의 PS 수익성 변화 | B사의 PS 수익성 변화 | M&A 전략(수평통합과 수직통합) | <화학저널 2005/8/15>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폴리머] ABS·PS, 중국 자급 확대 긴장 | 2017-07-13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EP/컴파운딩] ABS·PS 수요만족도 조사 | 2003-12-01 | ||
| [EP/컴파운딩] 아시아, ABS·PS가격 초강세 | 1995-04-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