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주 주당들은 한국을 떠나라”
|
정부, 세수보전 위해 소주가격 20% 인상 … 맥주는 대폭인하 정부의 세제 개편안에 따라 2006년부터 대표적인 대중주인 소주가격은 크게 오르고 맥주는 내려 2007년 이후에는 2대 주류의 가격이 공장출고가 기준으로 같은 수준이 될 전망이다.이에 따라 지방 소주기업들을 중심으로 정부의 주세율 인상안에 대한 반발이 거세 주류공업협회를 통해 현행 주세율 72% 유지 등을 내용으로 하는 의견서를 관계당국에 제출하기로 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8월26일 재정경제부가 발표한 세제개편안과 주류시장 분석에 따르면, 출고원가(제조원가+적정마진) 대비 주세율이 맥주는 현재 90%에서 2006년 80%, 2007년부터는 72%로 낮아지는 반면, 소주와 위스키는 현재의 72%에서 2006년부터는 90%로 오른다. 이에 따라 맥주는 병입 500㎖ 용량에 1005원 가량인 공장출고가가 2006년에는 945원, 2007년부터는 897원 선으로 내려가지만 360㎖ 용량의 소주는 800원 정도인 공장 출고가가 2006년부터 897원 선으로 올라 2007년부터는 가격이 비슷해질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공장출고가 기준으로만 보면 맥주가격은 2006년과 2007년에 각각 5.97%, 10.74%씩 내리고 소주는 2006년부터 12.12% 오르는 셈이다. 공장출고가 변화는 2005년 현재 맥주와 소주의 출고원가를 421원, 376원 선으로 잡아 불변으로 놓고 여기에 바뀌는 주세율과 주세율의 30%가 붙는 교육세를 합쳐 공장 공급가를 산출한 뒤 10%의 부가세를 적용해 산출한 것이다. 다만, 유통마진 등을 포함한 실제 소비자가격은 맥주과 소주의 현 유통마진율이 28%, 20% 가량인 점을 감안하면 각각 1200원, 1100원 정도가 돼 맥주가 여전히 약간 높은 수준의 가격대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정부당국과 주류업계 일부에서는 소주가격이 2006년부터 최고 1200원 가량으로 인상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어 그동안 소비자가 느끼던 맥주와 소주의 가격 차이가 거의 사라진 것과 다름없을 것이라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또 국내에서 가장 잘 팔리는 위스키인 500㎖ 용량의 12년산 임페리얼도 소비자 가격이 2만5000원에서 2006년부터 2만8000-2만9000원 선으로 오르는 등 위스키 가격도 크게 인상될 전망이다. <화학저널 2005/08/2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