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료가격 상승에 수익성 악화 “고전” 국내 톨루엔(Toluene) 시장이 나프타(Naphtha) 가격 상승분을 반영하지 못해 고전하고 있다.국내 톨루엔 생산능력은 2005년 기준 192만9000톤으로 SK, GS칼텍스 등 정유기업이 주도하고 있으며 2003년을 기점으로 톨루엔 수입국으로 전환됐다. 톨루엔 원료인 나프타는 고유가 행진 속에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반면, 톨루엔 가격은 나프타 가격인상분을 반영하지 못해 전반적으로 정체현상을 보이고 있고, 다운스트림 수요는 친환경 트렌드에 따라 용제용 및 TDI(Toluene Diisocyanate) 수요가 감소해 톨루엔 시장의 침체를 부추겼다. 또한 톨루엔 수출은 중국시장의 자급률이 상승함에 따라 중국의 높은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그러나 MTPX(Mobil Selective Toluene-to-Para Xylene)용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며, 벤젠(Benzene)과 P-X(Para-Xylene)가 2005년 상·하반기에 번갈아 호조를 보여 GS칼텍스는 MTPX 플랜트를 풀가동했다. 표, 그래프 | 나프타-톨루엔-벤젠-P-X 가격추이 | 톨루엔 체인의 스프레드 변화 | 국내 톨루엔 수급동향 | 국내 벤젠 수급동향 | 국내 DNT 생산능력 | 국내 TDI 생산능력 | 중국의 TDI 생산능력 및 증설 계획 | <화학저널 2006/3/13>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올레핀] EO, 유도제품 수요 탄탄하다! | 2025-01-20 | ||
| [올레핀] C5, 유도제품 생산 확대한다! | 2023-04-10 | ||
| [첨가제] 금속흡착제, 셀룰로스 유도제품 활용 | 2023-01-26 |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페놀 유도제품 불황 | 2022-08-05 | ||
| [올레핀] 중국, 프로필렌 유도제품 생산 확대 | 2022-05-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