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환효율 40% 이상으로 향상 … 인공위성 전원용 포함 3년 후 상업화 샤프(Sharp)는 인공위성의 전원 등 특수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고변환효율 화합물계 태양전지를 저 코스트로 양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세계 최고 변환효율은 38.8%지만 신기술을 사용하면 제조코스트를 10분의 1로 줄이고 변환효율도 40% 이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샤프는 3년 이내에 양산에 들어갈 예정으로 이미 변환효율이 35.8%인 샘플을 완성했으면 하반기부터 40% 제품 개발에 나서고 있다. 샤프는 최근 우주용도 이외에 민간용 태양전지 시장에도 본격 진출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우선 대규모 태양광발전 시스템용으로 상업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미 화합물계 태양전지의 필름화 기술도 확립한 상태로 전기자동차(EV) 등 그린자동차용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샤프는 결정성장 공정을 통해 광 흡수층 부분을 갈륨비소(GaAs) 기판에서 분리해 셀 제작공정에서 전지의 지지기판에 전사함으로써 갈륨비소 기판의 재이용이 가능해져 저 코스트 태양전지 양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 3층 구조의 빛 흡수층의 최하부의 장파장을 흡수하는 막 소재에 게르마늄(Ge)을 대신해 보다 빛 흡수성이 뛰어난 인듐갈륨비소(InGaAs)를 채용함으로써 변환효율을 31.5%에서 35.8%로 향상시키는데 성공했다. 인듐갈륨비소로 만들어진 바닥층은 결정 간격이 3층 구조의 광 흡수층의 다른 2층보다 넓어 게르마늄으로 만든 바닥층보다 결정 붕괴가 일어나기 쉽고 전기적인 손실이 크지만 바닥층을 마지막에 형성하는 기존방식과는 반대의 광 흡수층 형성법을 확립해 문제를 해결했다. 갈륨비소 기판에서 분리한 후 셀에 전사할 때 최상부의 바닥층에서 전지의 지지기판에 부착함으로써 3층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샤프는 앞으로 변환효율 40%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광 흡수층의 4층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조기에 4층화 기술을 확립할 방침이다. <화학저널 2009/11/03>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점/접착제] LG화학, 고효율 실버 페이스트 개발 | 2025-06-16 | ||
[아로마틱] 방향족, 미생물로 고효율 생산한다! | 2025-05-07 | ||
[정밀화학] 화학연, 고효율 암모니아 촉매 개발 | 2025-02-18 | ||
[신재생에너지] 한화큐셀, 최고효율 탠덤 셀 개발 | 2024-12-19 | ||
[석유화학] 하니웰, ECC‧PDH 고효율화한다! | 2024-10-21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