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품목이나 수입량이 96년 791톤, 97년 772톤, 98년 505톤으로 점점 감소하고 있음. ◆ 수입감소는 환율상승과 소비심리 위축으로 화장품 수요가 감소했고, 고가의 섬유유연제 사용감소에 따른 것임. ◆ 98년에는 독일산이 59.5%를 차지했고 인디아 22.7%, 필리핀 8.8%, 말레이지아 5.8%, 일본 1.7%, 인도네시아·미국이 1.5%를 차지함. ◆ 수입기업은 Henkel Korea, 삼광화학약품, 우진정밀화학 외 7개가 있음. ◆ 일본산은 고가정책을 펴고 있어 KAO제품 수입량은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음. ◆ 세틸알콜과 동종의 지방알콜인 세틸 스테아린알콜은 세제와 화장품 생산용으로 태평양이, 지방산인 스테아린산은 화동케미칼이 수입하고 있음. 표, 그래프 : | Cetyl Alcohol의 특성 | Cetyl Alcohol 수급동향 | Cetyl Alcohol 가격추이 | Cetyl Alcohol 수입현황 | <화학저널 1999/4/12>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올레핀] 아시아, Oxo-Alcohol 가동 순조 | 2008-07-23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올레핀] 중국, Oxo Alcohol 신증설 활발 | 2007-06-04 | ||
[올레핀] Oxo Alcohol | 2006-06-12 | ||
[무기화학/CA] Chloracetyl Chloride 시장 호조 | 2006-03-13 | ||
[올레핀] Acetylene | 2005-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