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용 중심 고기능성 수요 호조 … 원료가격 급등 가능성도
화학뉴스 2014.07.03
인 화합물은 2011년 급격히 침체된 이후 2013년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말부터 진행된 엔저현상으로 촉발된 전체적인 경기회복 영향으로 2014년에도 양호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소비세 증세 영향이 여름 이후에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어 섣부르게 판단할 수 없는 상태이다. 또 주요 원료 공급처인 베트남이 남지나해에서 중국과의 대치를 지속함에 따라 앞으로 원료의 안정적인 공급에 지장을 끼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등 안팎으로 위험요소가 지적되고 있다. 전반적으로 수요는 급격한 침체에서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4년은 2013년 수준을 유지하거나 혹은 약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일본 생산기업은 고순도 및 기능성제품, 유도체를 사업 축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개발 능력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장개척을 추진할 방침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인 화합물은 공업용부터 식품용까지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인산(Phosphoric Acid)은 단독 또는 2차 염류로 사용된다. 원료는 인광석, 황인(Yellow Phosphorus)으로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인광석으로 인산을 생산하는 2개 공법 가운데 Nippon Chemical, Rasa Industries, Rin Kagaku Kogyo는 건식공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Simonoseki Mitsui Chemical은 습식공법을 사용하고 있다. 인산의 다양한 용도 가운데 금속표면처리, 반도체‧전자기기 관련 수요가 가장 크며 금속표면처리용은 자동차, 가전제품 등에 크게 좌우되고 있다. 반도체‧전자기기 관련수요는 반도체의 엣칭용, LCD(Liquid Crystal Display)의 알루미늄 전극세정용, 콘덴서의 전해액으로 주요 사용되며 PC, LCD의 판매 동향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 최근 동북지방 대지진으로 일본의 자동차 생산량이 일시적으로 급감함에 따라 인 화합물 출하량도 크게 줄어든 바 있으나, 전기‧전자 관련제품은 PC, 액정 생산이 타이완, 한국, 중국 중심으로 이루어져 일본 수요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 일본무기약품협회에 따르면, 2013년 인 및 인 화합물 생산량은 6만9710톤으로 2012년에 비해 6%, 출하량은 6만9476톤으로 5% 늘어났다. 버블 붕괴 이후 경기침체와 리먼 브라더스 쇼크, 동북지방 대지진의 영향으로 수요가 대폭 축소됐으나 2012년 말 엔저현상을 계기로 경기가 호전되면서 관련기업들의 영업실적이 회복세로 전환돼 인화합물 수요도 회복세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2013년에는 적인 외의 모든 인‧인화합물이 2012년을 출하실적을 웃돌았다. 인산나트륨은 생산량이 15%, 출하량이 11% 급증했고, 인산칼슘도 생산량이 10%, 출하량이 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산 및 인산염류는 기능성제품 중심으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기, 무기 모두 기능을 전면에 앞세워 개발‧공급하고 있다. 인산 및 인산 유도제품 메이저인 Rasa Industries은 타이완 거점을 활용해 국내외에서 기능성제품을 중심으로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반도체용 고순도 인산은 일본의 반도체 생산체제가 안정세를 나타냄에 따라 수요가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고 한국, 타이완에서도 반도체 관련 움직임이 회복되고 있어 타이완과 연계를 강화해 판매를 추진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광학용 고순도 인산염류 판매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자동차 탑재용 및 보안용 유리가 증가함에 따라 수요도 확대되고 있어 기존 수요분야가 안정적인 추이를 보이는 가운데 새로운 수요처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SolvayNicca는 Solvay가 글로벌 인산 유도제품 메이저로 유럽과 미국, 중국에 생산거점을 보유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SolvayNicca가 Fukui 연구소에서 사용자의 기술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했다. 제네릭(복제품) 의약제품 보급기를 맞이해 의약중간체 제조용 촉매, 재활용 분야에서는 금속추출제 등의 판매가 늘어나고 있다. 공업용은 윤활유용 기능성첨가제를 본격적으로 판매하고 있다. 금속흡착성이 뛰어난 옥틸설폰산(Octyl Sulfonic acid)으로 생산한 기초 무기원료인 차아인산나트륨 시장개척도 추진하고 있다. Solvay는 차아인산류의 글로벌 메이저의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의 Zhangjiagang에는 최첨단 환경대응 모델 플랜트를 보유해 안정공급 체제를 확립했다. 2013년 인‧인화합물 생산 및 출하량은 호조를 나타냈다. 자동차 등 일본의 기간산업이 엔저효과 등의 영향에 힘입어 양호한 생산 활동을 지속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인광석 수입은 2012년 약 24% 가량 격감한데 비해 2013년에는 6% 감소에 그쳤고, 중국산 수입량은 여전히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지만 베트남산 수입은 110%로 2배 이상 늘어났다. 황인 수입은 중국산은 26% 감소한데 비해 베트남산은 3% 감소에 그쳤으며 인광석 및 황인 수입은 중국산이 회복될 확률이 낮고 베트남산 비중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다만, 남지나해에서 중국과 베트남의 긴장이 지속됨에 따라 원료 수급에 미칠 영향이 우려되고 있다. 베트남 인광산의 대부분이 중국과 가까운 북부지역에 위치해있어 출하도 북부지역 항구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2014년 1-3월 인산 수입량은 8674톤으로 전년동기대비 다소 감소했다. 인광석은 7만8359톤으로 27% 급감한 반면 황인은 3735톤으로 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광석 수입은 주요 수입국인 중국산이 2만7359톤으로 33% 급감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베트남산은 인광석과 황인 모두 증가세를 나타내는 것과 대조적으로 앞으로 양국의 인광석 및 황인 수입이 어떠한 추이를 나타낼지 주목된다. <강슬기 기자> 표,그래프: <인‧인화합물 생산 및 출하실적(2013)> <화학저널 2014/07/03>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EP/컴파운딩] 컴파운드, 기능제품 중심으로 성장 | 2024-05-2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산업정책] 싱가폴, 탄소세 영향 범용제품 철수 고기능제품 중심 전환한다! | 2025-04-11 | ||
[무기화학/CA] 인화합물, 중국발 하락세에도 수요 감소 장기화… | 2025-01-17 | ||
[점/접착제] 접착제, 수계형 전환 본격화 고기능제품 개발 박차 | 2023-11-24 | ||
[폴리머] 페놀수지 ②, 일본, 구조재편에 합종연횡 고기능제품 개발을 확대한다! | 2022-12-02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