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박장웅 교수팀, 그래핀과 금속섬유 결합 … 저항값 크게 낮춰
화학뉴스 2014.10.21
국내 연구진이 피부에 스티커처럼 붙여 디스플레이, 생체신호 측정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초소형 투명 전자회로를 개발했다.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는 박장웅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이 한국 전자통신연구원 추혜용 단장과 공동으로 구부리거나 잡아당겨도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는 투명 초소형 전자회로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월21일 발표했다. 박장웅 교수팀은 그래핀(Graphin)을 활용해 저항 값이 기존에 비해 250배 낮은 투명전극 제조기술을 개발했다. 특히, 최근 투명전극 소재로 대두되고 있는 금속 나노와이어에 비해서도 저항 값이 20배 이상 낮고, 공기에 장시간 노출되거나 열을 가해도 산화되지 않았고 유연성과 신축성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장웅 교수는 “기존에도 전자피부, 전자타투 등에 관한 연구가 있었지만 회로나 패턴이 그대로 보이는 문제가 있었다”며 “연구팀이 개발한 전자회로는 모든 물질을 투명하게 만들었기 때문에 실제 피부에 부착해도 표시가 나지 않아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래핀과 금속섬유를 결합함으로써 구부러지면 전기적 특성을 잃어버리는 기존 전자회로의 단점도 보완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나노 분야의 권위지인 Nano Letters 10월20일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화학저널 2014/10/2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전고체전지, 더 얇고 가벼워진다! | 2023-08-18 | ||
[전자소재] 얇고 휘어지는 투명 촉각센서 개발 | 2014-06-13 | ||
[신재생에너지] 휘어지는 반투명 유기 태양전지 개발 | 2014-04-09 | ||
[반도체소재] 휘어지는 모니터 상용화 머지않아! | 2014-01-2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전자소재] 전자소재, 더 가볍고 더 얇고 더 작게… | 2016-11-11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