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컴파운딩]

글로벌 PAN(Polyacrylonitrile)계 탄소섬유 수요는 2016년 6만5000톤으로 전년대비 8%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산업용은 안정적으로 신장했으나 항공·우주용은 대형 여객기 생산 침체, 중간 가공제품인 프리프레그(Prepreg) 재고 조정의 영향으로 1000톤 증가에 머물렀다.
항공기 생산기업들은 대형기에서 소형기 중심으로 생산을 전환하고 있어 프리프레그를 포함한 가공제품 재고 조정이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산업용 안정성장에 항공기용 부진
미국 Boeing, 유럽 Airbus 등은 저비용 항공사(LCC: Low Cost Carrier)의 대두로 항속거리가 짧은 소형기에 대한 니즈가 높아짐에 따라 대형기 대신 소형기 생산에 주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형기에 사용되는 프리프레그, 수지를 복합화한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에 대한 재고 조정이 이루어지면서 탄소섬유 수요 신장이 둔화되고 있다.
2017년에도 소형기로 생산 전환을 계속했으며 Boeing 737, A320 등 소형기 수주가 호조를 유지함에 따라 가공제품 재고 조정이 가을까지 이어진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2016년에는 스포츠용 수요도 낚싯대 및 자동차용 침체에 따라 정체됐으나 산업용은 10% 수준 증가했다.
압축천연가스(CNG)용은 신장세가 둔화됐으나 풍력발전 블레이드용이 호조로 나타냈다.
CFRP는 자동차 경량화 소재로 채용이 확대되고 있다.
CFRP는 가격이 높아 생산량 500-1000대, 판매가격 1억원 이상의 스포츠카 및 고급 자동차에 한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 생산기업들이 EV(전기자동차)를 포함한 친환경 자동차 개발, 연비 향상을 위한 차체 경량화에 주력하면서 CFRP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도요타자동차(Toyota Motor)는 2017년 2월 판매를 개시한 Prius PHV(플러그인하이브리드자동차)의 백도어 골격에 CFRP를 채용했다.
도요타가 주력 차종인 Prius에 CFRP를 사용함으로써 경쟁기업들도 양산 자동차에 적용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CFRP 생산기업들은 성능과 코스트 밸런스에 대응한 연구개발(R&D)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 설비투자 및 연구개발 적극화
중국도 탄소섬유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 탄소섬유 생산기업들은 기술력이 아직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해 위상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은 탄소섬유 생산능력이 2016년 기준 2만톤 수준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생산량은 3500-4000톤으로 전년대비 10% 증가했으나 평균 가동률은 20%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약 30사의 평균값으로 거의 가동하지 않는 곳과 50% 수준으로 가동하고 있는 곳 등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RT(Regular Tow)는 중국 3강으로 불리는 Zhongfu Shenying Carbon Fiber, Weihai Guangwei Composites, Jiangsu Hengshen Fiber Material이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Zhongfu Shenying Carbon Fiber는 6000톤, Weihai Guangwei Composites은 3100톤, Jiangsu Hengshen Fiber Material은 3000톤 생산체제를 구축하고 있으며 모두 생산규모 및 품질향상을 위한 투자를 적극화하고 있다.
특히, Zhongfu Shenying Carbon Fiber는 2016년 중국 탄소섬유 생산기업 가운데 최초로 흑자를 달성했으며 기술력도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Toray가 생산하는 T800급 그레이드 양산을 시작한데 이어 2020년 생산능력을 1만톤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Toray의 T1000급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 탄소섬유 시장은 생산기업이 난립하고 있는 가운데 3강을 중심으로 성장해 경쟁력이 없는 곳은 재편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의견이 부상하고 있어 차별화 전략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Jilin Jinggong Carbon Fiber는 2017년 10월 중국 최초로 LT(Large Tow) 양산설비를 가동했다.
중국은 군수용 RT 생산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코스트보다 품질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장기적으로는 풍력발전 블레이드, 자동차 등 산업용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따라 Jilin Jinggong Carbon Fiber는 코스트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LT를 생산하기로 결정했다.
광학필름 등을 생산하고 있는 Kangde Group도 주목받고 있다.
산하 Zhong An Xin Technology가 2016년 여름 단일라인으로는 중국 최대인 1800톤 설비의 상업가동을 시작했고, 경쟁기업 및 자동차 생산기업의 기술자를 잇달아 채용하는 등 공격적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복합소재 분야에서는 독일 기술 도입이 잇따르고 있다.
Kangde Group 산하 복합소재 생산기업인 Kangde Xin Composite Material은 독일 Bayern 소재 CFRP 연구개발센터를 개설했으며, Hengrui는 독일 Fraunhofer 화학기술연구원과 제휴해 Changshu에 복합소재기술센터를 설립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은 고부가가치화로 대응
중국기업들이 적극적인 증설 및 기술 개발로 공세를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기업들은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Mitsubishi Chemical은 2017년 4월 화학 관련 3사를 통합함에 따라 개별적으로 진행하던 Mitsubishi Rayon의 PAN계 탄소섬유 「Pyrofil」과 Mitsubishi Plastics의 「Dialead」 마케팅을 함께 진행할 수 있는 강점을 강조하고 있다.
탄소섬유는 PAN계가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피치(Pitch)계는 강성과 열전도성이 뛰어나 수지와 복합화함으로써 열팽창률을 거의 0 수준으로 끌어내릴 수 있는 특징이 있다.
SMC(Sheet Molding Compound)도 PAN계 뿐만 아니라 피치계를 배합함으로써 탄성률을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PAN과 피치 합성제품은 액정패널 수송 시 백서포트용 등 산업용으로 이미 채용되고 있다.
Mitsubishi Chemical은 PAN과 피치를 모두 생산하고 있는 강점을 바탕으로 중국시장 공략을 강화할 방침이다.
Teijin은 중국 EV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2017년 1월 인수한 자동차용 복합소재 성형기업 CSP(Continental Structural Plastics)의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2016년까지는 원사 판매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필라멘트에 주력했으나 2017년부터는 CSP의 강점을 바탕으로 자동차용으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하고 있다.
또 열경화성 CFRP 대신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한 CFRTP를 중심으로 자동차용 시장 공략을 강화할 계획이다.
글로벌 최대의 탄소섬유 메이저 Toray는 중국에서 라켓, 낚싯대 등 스포츠용으로 투입한 이후 산업용으로 서서히 확대해 압력용기, NGV(Natural Gas Vehicle) 탱크, 송전선 심재, 풍력발전 블레이드 등 인프라 및 에너지 관련 채용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Toray는 RT를 생산하고 있는 가운데 계열사인 Zoltek은 LT에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
Zoltek은 중국에서 Vestas 풍력발전용으로 독점공급 계약을 체결했으며 현지 풍력발전 생산기업도 블레이드 대형화 및 해상발전을 추진하고 있어 탄소섬유를 더욱 광범위하게 공급해 수요 신장에 대응할 방침이다.


표, 그래프: <글로벌 PAN계 탄소섬유 수요동향, 글로벌 PAN계 탄소섬유 생산능력(2016)>

구독신청
한줄의견
평점 선택
(0 / 500 글자)
관련뉴스
화학뉴스
화학뉴스 목록 - 화학뉴스목록으로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를 나타내는 테이블입니다.
제목 날짜 첨부 스크랩
[올레핀] 초산에틸, 중국이 공급과잉 주범 2025-09-19  
[EP/컴파운딩] HS효성, 중국 탄소섬유 공세 강화 2025-09-17  
[EP/컴파운딩] HS효성, 북미 탄소섬유 시장 공략 2025-09-10  
[EP/컴파운딩] PPS, 중국이 지배력 강화한다! 2025-09-10  
화학저널
화학저널 목록 - 화학뉴스목록으로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를 나타내는 테이블입니다.
제목 날짜 첨부 스크랩
[제약] CDMO, 중국이 아시아·유럽 선회… 2025-09-19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주식회사 화학경제연구원(이하 "회사")은 회사가 운영하는 인터넷 사이트(http://www.chemlocus.com, 이하 "켐로커스") 및 책자로 발간되는 "화학저널"을 이용하는 이용자님들의 개인정보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아래와 같은 취급방침을 가지고 있습니다. 목 차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10. 고지의 의무 1.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무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선택: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주소 유료회원 필수: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관심분야, 이메일,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정보, 맥어드레스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부서명, 직위명, 사업자등록정보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회원 아이디, 비밀번호, 접속IP정보, 맥어드레스 - 회원 유무의 확인 및 이용자 식별을 위함 (3) 이메일,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팩스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이벤트 안내 및 상품 발송,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4) 주소 : 서비스 이용에 따른 상품 배송을 위함 (5) 부서명, 직위, 관심분야: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6) 결제자 정보, 사업자등록 정보, 신용카드 정보 :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와 환불처리, 세금계산서 발행, 금융거래 본인 인증 및 금융 서비스를 위함 2. 개인정보의 보유기간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또한 개인정보가 제3자에게 제공된 경우에는 제3자에게도 파기하도록 지시합니다. 단, 다음의 정보에 대해서는 아래의 이유로 명시한 기간 동안 보존합니다. - 보존항목 : 이름, 로그인ID, 비밀번호, 비밀번호 질문과 답변,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회사명, 부서, 직책, 회사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결제기록 - 보존근거 : 재가입이나 연장 때 필요 - 보존기간 : 회원가입 시점 후 5년, 탈퇴 및 삭제요청시 즉시 파기 3. 개인정보의 파기절차 및 방법 (1) 파기절차 : 회원님이 회원가입 등을 위해 입력하신 정보는 목적이 달성된 후 별도의 DB로 옮겨져(종이의 경우 별도의 서류함) 내부 방침 및 기타 관련 법령에 의한 정보보호 사유에 따라(보유 및 이용기간 참조) 일정 기간 저장된 후 파기되어집니다. (2) 파기방법 : 전자적 파일형태로 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삭제합니다. 4. 개인정보의 열람 정정 회원은 언제든지 등록되어 있는 회원의 개인정보를 열람하거나 정정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의 개인정보에 대한 열람 또는 정정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마이페이지 > 회원정보관리』를 클릭하여 본인 확인 절차를 거치신 후 직접 열람 또는 정정하거나, chemj@chemlocus.com, 02-6124-6660~8 내선 202로 연락하시면 지체 없이 조치하겠습니다. 회원이 개인정보의 오류에 대한 정정을 요청하신 경우에는 정정을 완료하기 전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 또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또한 잘못된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이미 제공한 경우에는 정정 처리결과를 제3자에게 지체 없이 통지하여 정정이 이루어지도록 조치하겠습니다. 단, 다음의 경우에는 개인정보의 열람 및 정정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본인 또는 제3자의 생명, 신체, 재산 또는 권익을 현저하게 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 - 당해 서비스제공자의 업무에 현저한 지장을 미칠 우려가 있는 경우 - 법령에 위반하는 경우 등 5.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대책 "켐로커스"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취급함에 있어 개인정보가 분실, 도난, 누출, 변조, 또는 훼손되지 않도록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대책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1)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암호화되어 저장되고 본인 이외의 다른 사람이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 기능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용자의 비밀번호는 공공장소에서의 인터넷사용 등 여러 방법으로 타인에게 알려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의 보호를 철저히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그러므로 이용자께서도 개인의 정보를 타인에게 유출시키거나 제공하여서는 아니 되며, 자신의 개인정보를 책임 있게 관리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비밀번호 등의 유출에 대해서는 "켐로커스"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2) 이용자의 파일 및 전송 데이터, 계좌번호, 이용자 식별 정보 등의 중요한 데이터는 암호화하여 별도의 보안기능을 통해 보호하고 있습니다. 6. 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켐로커스"는 이용자에게 다양하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찾아내는 쿠키를 사용합니다. 쿠키란 웹사이트서버가 사용자의 컴퓨터 브라우저에게 전송하는 소량의 정보입니다. 쿠키는 이용자의 컴퓨터는 식별하지만 이용자를 개인적으로 식별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이용자는 쿠키에 대한 선택권이 있습니다. 이용자의 웹브라우저를 조정함으로써 모든 쿠키를 다 받아들이거나, 쿠키가 설치될 때 통지를 보내도록 하거나, 아니면 모든 쿠키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쿠키의 저장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켐로커스"에서 로그인이 필요한 일부 서비스는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7. 개인정보 취급 위탁관리 "켐로커스"는 원활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위하여, 최소한의 제한된 범위에서 개인정보를 위탁 관리하고 있습니다. 보유 및 이용기간은 회원 탈퇴 및 위탁 계약 만료 시까지이며 위탁 계약 시 개인정보가 안전하게 관리 될 수 있도록 관련 사항들을 별도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수탁사수탁 업무 및 목적보유 및 이용기간
미래 이포스트상품 배송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LG U+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홈페이지코리아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8. 의견수렴 및 불만처리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한 회원님들의 의견과 불만을 제기할 수 있도록 고객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의견을 주시면 접수 후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조치하여 처리 결과를 통보해드립니다. 회원님과 켐로커스가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하여 분쟁이 발생한 경우 정부에서 운영중인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www.cyberprivacy.or.kr)에 그 처리를 의뢰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개인정보 침해 신고센터 (http://www.cyberprivacy.or.kr/1336) 대검찰청 인터넷 범죄수사센터 (http://icic.sppo.go.kr/02-3480-3600) 경찰청 사이버테러 대응센터 (http://www.ctrc.go.kr/1566-0112) 9.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등 "켐로커스"는 개인정보 관리책임자를 지정하여 이용자들의 개인정보에 관련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용자께서 "켐로커스"에 개인정보와 관련한 문의, 의견, 불만을 제기하고자 하실 경우에는 아래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에게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인정보 관리 책임자 : 서경선 상무 sks@chemlocus.com 10. 고지의 의무 현 개인정보 취급 방침은 2016년 1월 4일부터 시행합니다. 또한, 개인정보취급방침에 변경공고일자 및 그 시행일자 등을 부여하여 개정여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취급방침 변경 공고 일자 : 2015년 12월 28일 개인정보 취급방침 시행일자 : 2016년 1월 4일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닫기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11년 2월1일]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개인정보취급방침 닫기
<기사제보>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이메일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출처 신뢰성 확인, 분쟁시 증빙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