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PA(Bisphenol-A)는 영수증·대기표 등과 관련된 안전기준이 새롭게 도입될 예정이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영수증·대기표에 다량 함유돼 있는 BPA의 안전관리 기준 마련과 소관부처 확정을 서두르겠다는 뜻을 밝혔다.
10월18일 국회에서 열린 환경노동위원회의 환경부 종합 국정감사에서 국민들이 BPA에 노출돼 건강을 위협받고 있다는 지적에 답한 것으로 조명래 장관은 “조만간 BPA 유해성에 대해 평가해 결과에 따라 관계부처와 협의해 소관부처를 정하고 범부처제품안전정책협의회를 거쳐 빠른 시일 내에 국민 건강을 지킬 기준도 도입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영수증 사용 자체를 줄이는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전자영수증 발급을 독려하거나 BPA 대체물질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미흡하다는 지적에는 “2017년 발표된 통계치로는 상당히 많이 늘었다”면서 “조만간 나올 피크치를 계기로 공세적으로 줄일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답했다.
한국은 2017년 온실가스 배출량이 7억914만톤으로 전년대비 2.4%(1657만톤) 증가해 처음으로 7억톤을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폐수 배출시설과 공공폐수처리시설 방류수의 유기물질 관리지표로 사용해오던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을 총유기탄소량(TOC)으로 2020년부터 변경하면서 TOC 수질자동측정기기(TMS)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장비의 국산화는 더디다는 주장도 등장했다.
이에 조명래 장관은 “시설 설치를 2023년까지로 유예했고 유예기간 동안 연구개발(R&D)될지 모르겠지만 국산화율을 높이도록 하겠다”면서 “환경부 단독으로는 힘들기에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방안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