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젠, 미생물 염기서열 해독
|
생명공학 벤처기업인 마이크로젠(대표 서정선)은 알콜 발효균주로 산업적 가치가 높은 미생물인 Zymomonas Mobilis의 게놈 염기서열을 세계에서 처음으로 해독했다고 8월24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스웨덴 브라질에 이어 생명체의 전체염기서열을 분석한 8번째 국가가 됐다. 마이크로젠은 미국 셀레라가 염기서열을 분석한 랜덤샷건(Random Shotgun) 방식과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포스미드방식을 결합, 약 2.3Mbp 크기의 자이모모나스 전체 염기서열 중 98.9%의 분석을 완료했다. 해독결과 자이모모나스는 2068개의 유전자로 구성되었으며 이중 1326개(64.1%)는 기능이 알려진 유전자, 742개는 기능이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유전자로 추정되고 있다. 마크로젠은 연구결과를 미국 국립보건원이 운영하는 데이타베이스에 공식 등록할 예정이며, 2000년에 100% 해독을 위한 마무리 작업과 자이모모나스 유전자칩 개발 및 특허화작업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마크로젠은 그동안 과기부의 지원을 받아 해독작업을 해오던 서울대 강현삼교수로부터 2000년초 연구실적을 넘겨받아 2월부터 염기서열분석작업에 착수했었다. 미국 셀레라가 인간 게놈프로젝트(HGP)를 2년도 안돼 끝낼 수 있었던 것은 1995년 해모필루스 인플루엔자(Haemophilus influenzae) 박테리아를 해독한 기술력과 경험이 있었기 때문이다. <화학저널 2000/9/4/11>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기술/특허] BTX, 미생물 활용해 친환경 생산 | 2025-10-13 | ||
| [바이오폴리머] PHB, 생분해 해양 미생물 확대 | 2025-07-30 | ||
| [아로마틱] 방향족, 미생물로 고효율 생산한다! | 2025-05-07 | ||
| [기술/특허] KAIST, 미생물로 화합물 생산한다! | 2025-04-08 | ||
| [바이오폴리머] 플래스틱, 해양 미생물 활용 본격화 | 2025-01-0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