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C(중형용기)는 화학물류 시장에서 액체 화학제품 용기를 중심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드럼 캔보다 소량 수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시보관용으로도 용이해 화물업 고부가가치화와 파인케미칼 특화 트렌드를 타고 의약품, 화장품, 욕실 주변제품, 식품, 전자소재 분야에서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수요가 왕성한 증가세를 나타내면서 리스 및 렌탈기업들의 가동률이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으며 노후용기 대체를 포함해 신규투자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고도화 및 다양화되고 있는 니즈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특수용기 및 서비스가 마련되고 있어 주목된다.
IBC는 드럼 캔 5개 분량, ISO 탱크 컨테이너 기준으로는 20분의 1 수준에 해당하는 중형용기로, 주로 액체 수송에 특화돼 있다.
일본에서는 위험물 수송을 위한 국제해상위험물규정(IMDG) 코드에 따라 소방법이 개정되면서 1995년 최초로 도입됐고 현재 1000리터 타입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드럼 캔 대체와 탱크로리의 스케일 다운 니즈 등에 대응하면서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또 탱크야드 등 용기 간 내용물을 교체하는 멀티워크스테이션(MWS)에서 사용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용기는 HDPE(High-Density Polyethylene)를 블로우 성형하거나 스테인리스 등을 소재로 한 금속 타입으로 완성하고 있다.
HDPE 타입은 편도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수출 분야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반면, 스테인리스 타입은 공장과 공장 사이를 오갈 때 사용하기 때문에 일본 국내에서 주로 유통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송 대상은 범용화학제품 뿐만 아니라 의약품, 화장품, 욕실 주변제품, 식품, 전자소재 등으로도 확대되고 있으며 알코올 제제와 벌레 물림 방지 스프레이 등에 이용된 사례도 있다.
다양화되는 니즈에 대응할 수 있는 경량·저고 타입과 가열·보온·가압 등 기능을 부여한 특수 그레이드 투입도 잇따르고 있다.
저고 타입은 입체창고용을 중심으로 이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의약품, 화장품, 식품 등은 위생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는 점에서 내부를 연마해 마감한 타입이 채용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