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그룹이 수소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한화는 6월4일(현지시간) 미국 니콜라(Nicola)가 나스닥에 상장하면서 한화가 보유한 지분가치가 7억5000만달러(약 9000억원)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한화에너지, 한화종합화학이 2018년 11월 총 1억달러를 투자해 니콜라 지분 6.13%를 확보했고 1년 6개월만에 지분 가치가 7배 이상으로 늘어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니콜라는 제2의 테슬라(Tesla)로 불리는 수소·전기트럭 개발 스타트업으로 이르면 2023년 수소트럭을 양산할 계획이며 2027년까지 미국, 캐나다 전역에 수소 충전소 800여개를 건설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화그룹은 2018년 초 미국 현지 벤처 투자 전담조직이 니콜라 투자 필요성을 담은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니콜라에 관심을 가지게 됐으며 이후 계열사 논의를 거친 후 사업 연관성이 깊은 한화에너지, 한화종합화학이 공동 투자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후 최종 결정 과정에서는 10여년 동안 태양광 사업을 담당해온 김동관 한화솔루션 부사장(당시 한화큐셀 영업총괄 전무)이 평소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던 미국 전문가 그룹을 통해 정보 수집에 나섰고 실무진과 함께 니콜라 창업주 트레버 밀턴을 만나 온실가스 배출 제로(0)를 목표로 하는 사업 비전을 듣고 한화와 통하는 지점을 직접 확인했다.
한화 주요 계열사는 니콜라 상장을 계기로 미국 수소 생태계 시장에 본격 진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한화에너지는 니콜라 수소 충전소에 태양광발전으로 생산한 전력을 우선 공급하는 권한을 갖고 있고, 한화종합화학은 수소 충전소 운영권을 확보했다.
앞으로는 한화큐셀이 수소 충전소에 태양광 모듈을 공급하거나, 한화솔루션 첨단소재부문이 수소 충전소용 탱크를 공급할 기회를 갖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화솔루션 케미칼 부문도 물을 전기 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기술로 사업에 참여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 한화토탈 대산공장에서 부생 수소를 활용한 수소연료전지 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
한화토탈은 2020년 6월 50MW 상업생산을 시작하며 세계 최초 및 최대 상용 수소연료전지 발전소라는 점에서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