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아가 화학제품 수입규제를 강화하고 있어 대응이 요구된다.
인디아는 대다수 화학제품의 수요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나 최근 자체 생산능력 확충을 적극화하면서 수입규제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의존도를 낮추는데 주력하고 있다.
2021년 1월 타이산에 반덤핑관세를 부과한 페놀(Phenol)은 2018년 Deepak Phenolics이 구자라트(Gujarat) 공장을 완공한 후 자급자족 체제가 자리를 잡으며 수입규제에 나선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미국산도 반덤핑 조사 대상이었으나 관세 부과에서는 제외됐다.
하지만, 2021년 3월 싱가폴과 유럽연합(EU)산에 대한 반덤핑관세 부과 조치를 7월까지로 연장하기로 결정함으로써 페놀에 대한 무역장벽을 계속 높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우레탄(Urethane) 원료인 TDI(Toluene Diisocyanate) 역시 EU, 사우디, 타이완산에 대해 2021년 1월부터 반덤핑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규제품목은 가성소다(Caustic Soda)로 파악되고 있다.
인디아 가성소다 시장은 연평균 5% 이상 성장하고 있으나 CA(Chlor-Alkali) 신증설 투자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수급타이트가 심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2020년 기준 공칭 생산능력이 450만톤에 달했으나 실제 생산량은 80% 정도에 그쳤고 내수 400만톤의 10% 정도는 수입으로 충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디아 상공부는 알칼리제조자협회(AMAI) 등의 요청에 따라 2020년 12월부터 일본산 가성소다에 대한 반덤핑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AMAI에 따르면, 2019년 4월-2020년 3월 전체 가성소다 수입량은 37만5000톤이었고 일본산이 약 32만톤으로 80%를 차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정부의 강력한 규제 조치가 수요기업들의 수익성 악화에 직결된다는 불만도 확대되고 있다.
인디아 플래스틱제조자협회(AIPMA) 등 화학제품 수요기업 협회 10개 단체는 2020년 12월 공정한 가격으로 화학제품을 유통하거나 원료를 수입하는 행위까지 막는 반덤핑관세 부과 및 BIS(공업표준규격) 인증 강화 조치를 중단해줄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
인디아 정부는 2020년 아세톤(Acetone), 과산화수소 등 화학제품 14개 품목을 대상으로 BIS 강화 조치를 시행한 바 있다.
인증 미취득제품은 2021년 1월부터 수입을 금지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로 인증작업을 진행할 수 없게 됨에 따라 기한을 연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