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2차전지용 고순도 니켈 생산에 돌입한다.
포스코는 자회사인 SNNC의 기존 설비와 연계한 투자를 통해 2023년까지 2만톤(니켈 함량 기준)의 2차전지용 고순도 니켈 정제공장을 건설한다고 7월28일 발표했다.
니켈 순도 75%의 니켈 매트(니켈 제련제품)를 습식 정제해 순도 99.9% 이상의 고순도 니켈을 생산하며, 스테인리스(STS) 원료용 페로니켈을 제련하는 SNNC가 기존 설비에 철을 제거하는 탈철공정을 신설해 니켈매트를 생산하면 포스코가 정제해 고순도 니켈을 생산하는 구조이다.
총투자비는 2300억원으로, 포스코가 공장 건설에 1700억원, SNNC가 설비 추가에 600억원을 각각 투입한다. 정제공장은 SNNC와 인접한 광양제철소 동호안 부지에 들어선다.
고순도 니켈 2만톤은 전기자동차 50만대에 공급할 수 있다.
우드맥킨지는 2020년 300만대를 넘어선 세계 전기자동차 시장이 2030년에는 3200만대 이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고용량 배터리 양극재의 필수원료인 고순도 니켈 수요도 연평균 23% 급성장해 2025년 이후에는 공급부족이 예상되고 있다.
포스코는 고순도 니켈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포스코케미칼 등에 판매해 그룹 차원의 2차전지 소재 가치사슬 경쟁력을 높일 방침이다. 포스코는 5월 오스트레일리아의 니켈 광업 및 제련 전문기업 레이븐소프 지분 30%를 인수한 바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고순도 니켈 공장 건설로 2030년까지 니켈 10만톤을 자체 공급한다는 목표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