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Polypropylene)는 동남아시아·인디아만 상승했다.
아시아 PP 시장은 원료가격이 하락세를 장기화하고 있는 가운데 가동중단과 재가동이 겹치며 혼란스러운 양상을 나타냈다.

아시아 PP 시세는 6월15일 CFR FE Asia 기준 라피아(Raffia) 및 인젝션(Injection) 그레이드가 톤당 1085달러, IPP Film 및 BOPP는 1095달러, 블록 코폴리머(Block Copolymer)는 1105달러로 변동이 없었다.
CFR SE Asia는 라피아 및 인젝션 1220달러, IPP Film 및 BOPP 1230달러, 블록 코폴리머 1245달러로 각각 10달러 상승했다. CFR S Asia는 라피아·인젝션이 1325달러로 20달러, IPP Film는 1345달러로 15달러, BOPP는 1350달러로 25달러, 블록 코폴리머는 1395달러로 20달러 올랐다.
국제유가가 6월15일 브렌트유(Brent) 기준 배럴당 118.51달러를 형성하며 초강세가 한풀 꺾인 가운데 프로필렌(Propylene)이 6월14일 CFR China 1030달러로 5달러 상승에 그쳤기 때문이다.
동북아시아는 중국이 상하이(Shanghai)를 중심으로 한 도시봉쇄를 부분적으로 해제하면서 상승이 기대됐으나 아직 구매수요로 연결되지 않아 보합에 그쳤다.
중국은 Sinopec Guangzhou Petrochemical이 5월30일 짧게 정기보수를 실시한 광동성(Guangdong)의 광저우(Guangzhou) 소재 No.3 PP 12만톤 플랜트를 6월4일 재가동했고, Dalian West Pacific Petrochemical은 6월1일 정기보수에 들어간 랴오닝성(Liaoning)의 다롄(Dalian) 소재 10만톤 플랜트를 6월30일 재자동할 예정이다.
반면, Fujian Refining & Petrochemical은 푸젠성(Fujian)의 콴저우(Quanzhou) 소재 No.3 PP 22만톤 플랜트를 6월16일부터 약 1주일간 정기보수할 예정이다.
베트남 효성비나케미칼(Hyosung Vina Chemical)은 5월11일 Propane Dehydrogenation(PDH) 60만톤 플랜트의 기술적 결함으로 PP 60만톤 플랜트 가동을 중단했다. PP 플랜트는 7월 원료 프로필렌(Propylene)을 확보하는대로 재가동할 것으로 파악된다.
중국 내수가격은 Fushun Petrochemical이 톤당 8950위안, 나머지는 8650-8900위안 사이를 제시한 것으로 파악된다. <박한솔 책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