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제일과 금호 Captive User가 갈랐다! 국내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생산기업들의 수익성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ABS 국내수요가 2003년 이후 정체현상을 보이고 있고 ABS 수요의 70%를 차지하는 자동차와 전자ㆍ전기산업이 침체기를 맞고 있으나 Captive User 보유 여부가 채산성을 결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화학경제연구원(CMRI)이 2000년에서 2004년 상반기까지 국내 ABS 생산기업들의 평균 판매가격과 주 원료인 SM(Styrene Monomer) 구매가격의 스프레드 변동을 분석한 결과, LG화학을 비롯해 제일모직, 금호석유화학 등의 ABS 제조 스프레드는 2000년 톤당 500-800달러대에서 2004년 상반기 300-500달러대로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Captive User를 확보하고 있는 제일모직과 LG화학은 수익성이 톤당 500달러 내외로 유사한 수준에서 우월을 다투고 있으나, 계열화의 이점이 전혀 없는 금호석유화학은 상대적으로 낮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주 원료인 SM을 기준으로 한 3사의 마진구조는 ABS의 제조원가보다는 판매가격 수준에 따라 수익성 격차가 결정되고 있다. SM 조달과 관련된 수직계열화도 ABS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평균 판매가격의 차이가 마진폭을 좌우하는 경쟁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레이드 다양화를 통한 고부가가치제품의 판매비중이 수익성 확보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표, 그래프 | ABS의 수익성 비교 | ABS 판매가격 비교 | 국내 ABS 마진변동 변화 | ABS 생산 및 판매동향 | LG화학의 ABS 가격추이 | 제일모직의 ABS 가격추이 | LG화학의 ABS 내수/수출 Spread | 제일모직의 ABS 수익성 변화 | 제일모직의 ABS 생산 및 판매실적 | 금호석유화학의 ABS 생산 및 판매실적 | 제일모직의 ABS 생산 및 판매추이 | 금호석유화학의 ABS 생산 및 판매추이 | 중국의 한국산 ABS 수입추이 | 중국의 한국산 ABS 수입추이 | ABS 수급현황 | 중국의 ABS 수급 전망 | <화학저널 2006/3/20>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배터리] K-배터리, 매출·수익성 모두 CATL에 완패 | 2025-10-28 | ||
| [무기화학/CA] 유니드, 염소 사업 침체에도 수익성 확보 | 2025-10-16 | ||
| [화학경영] 에쓰오일, 수익성 개선 기대된다! | 2025-10-13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아로마틱] LG화학, IPA 재활용으로 수익성 개선하라! | 2025-10-31 | ||
| [폴리머] PVC 페이스트, 자동차‧건축용 수요 증가 수익성 개선까지 기대한다! | 2025-10-1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