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염료로 광전변환 효율 10% 높여 … 얇고 저렴한 태양전지 실현
화학뉴스 2012.08.27
태양전지를 매우 얇게 만들면서도 효율을 기존의 2배로 끌어올리는 기술이 개발됐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성균관대 박남규 교수와 스위스 로잔공대 마이클 그랏첼 교수 등이 유기ㆍ무기물 복합 반도체 염료로 박막 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효율을 10%까지 높이는데 성공했다고 8월26일 발표했다.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염료가 빛을 흡수해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장치이지만 빛 흡수율이 낮아 매우 얇게 만들기가 어려웠다. 최근에는 빛을 잘 흡수하는 양자점(Quantum Dot 나노미터 크기의 반도체 결정)을 이용하고 있지만 지금까지는 최대효율이 5-6%에 불과해 상용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연구팀은 유기물과 무기물이 복합된 하이브리드 반도체 염료를 두께 0.6㎛의 이산화티타늄 필름에 흡착시켰고, <페로브스카이트>라는 특별한 결정구조를 지닌 염료를 스핀 코팅해 흡착에 걸리는 시간을 1분 이내로 줄였다. 개발된 양자점 감응 박막 태양전지는 표준태양광 조건에서 9.7%의 세계 최고의 효율을 나타냈으며, 500시간 이상 대기 중에 노출돼도 효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안정성을 보였다. 박남규 교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서 기존의 유기염료를 반도체 염료로 대체하면 얇으면서도 효율이 높고 저렴한 차세대 태양전지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성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사이언티픽 리포트(Nature Scientific Reports) 최신호에 실렸다. <화학저널 2012/08/2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신재생에너지] 태양전지, 탠덤형 곧 상용화한다! | 2025-06-25 | ||
[신재생에너지] 태양전지, 2026년 리사이클 상용화 | 2025-05-09 | ||
[신재생에너지] 인디아, 중국산 태양전지 배제 | 2025-04-25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신재생에너지] 태양전지, 플렉서블 실증 착수 | 2025-09-12 | ||
[배터리] 차세대 배터리, 고용량화 니즈 대응 가속화 전고체·태양전지 부상한다! | 2025-05-02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