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석유화학 인프라 정비 시급
파이프라인 미비로 생산능력 감축 난항 … 세금·행정규제도 문제
화학저널 2014.01.13
일본은 석유화학, CA(Chlor-Alkali) 등 기초화학 시장이 역사적인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Mitsubishi Chemical이 Kashima 소재 No.1 에틸렌(Ethylene) 39만2000톤, Sumitomo Chemical이 Chiba 소재 41만5000톤 크래커를 가동 중단하는 등 공급과잉으로 생산능력 감축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취약한 인프라와 규제 및 세금문제 등이 생산구조를 최적화하기 위한 구조개혁에 있어 저해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에틸렌과 가성소다(Caustic Soda)는 화학의 기초소재로 2012년 일본 생산량이 모두 2007년에 비해 21% 감소해 정점시기의 8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일본 화학기업들은 수익성이 크게 악화돼 구조개혁이 선결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에틸렌은 2017년 북미에서 셰일가스(Shale Gas) 베이스 크래커를 잇따라 가동 개시할 예정이어서 생산능력 감축 및 코스트 구조 개선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표, 그래프: <일본 석유화학기업의 구조개혁 현황> <화학저널 2014년 1월 13일>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석유화학, 금융권도 재편 압박 | 2025-09-30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경영권 분쟁 재점화 | 2025-09-30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EP/컴파운딩] TPE, 일본, 고부가가치화 공세 강화 크레이튼, 순환경제로 대응한다! | 2025-10-02 | ||
[합성섬유] PTA, 생산능력 감축은 생존문제 일본은 아예 생산을 접는다! | 2025-10-02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원료 불확실성 확대된다! | 202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