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가시광 흡수율 4배 이상 높여 … 태양전지‧광센서에 활용
화학뉴스 2015.08.18
국내 연구진이 원자단위의 미세 조절기술로 가시광 흡수율을 4배 이상 높인 3나노미터 두께의 얇은 광소재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연세대 전기전자공학과 김형준 교수 연구팀이 태양전지와 광센서 등에 활용 가능한 초박막 광소재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8월18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기판 표면에 원자단위로 얇게 박막을 씌우는데 활용돼온 원자층 증착법을 새롭게 도입해 금속이 포함된 원료와 반응가스를 교차 주입함으로써 박막을 성장시켰다. 텅스텐 소스와 몰리브덴 소스를 배합해 사용하고 반응가스와 교차 주입함으로써 원자비율이 조절된 산화물 합금을 만든 뒤 황화 공정으로 마무리하는 방식으로 소재를 개발했으며, 금속 소스를 배합하는 비율에 따라 원자비율이 달라지면서 밴드갭 조절이 가능해져 광 흡수율이 높은 소재를 만들어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신규 개발된 광소재는 두께가 3나노미터로 매우 얇지만 붉은색에서 초록색까지 넓은 영역대의 가시광선 빛을 흡수할 수 있고 기존 전이금속 이황화 초박막 반도체와 같은 두께에서 4배 향상된 광 흡수율을 보인 것으로 확인됐다. 김형준 교수는 “초박막 소재를 원자단위로 조절하는 기술은 소재의 물성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점에 큰 의미가 있다”며 “종이보다 얇고 구겨지는 태양전지와 광센서 등을 상용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화학저널 2015/08/1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첨가제] 첨가제, 고기능화로 EV 캐즘 돌파 | 2025-08-27 | ||
[폴리머] PVC, CNF 배합으로 고기능화한다! | 2025-07-15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정밀화학] 정밀화학의 방향성, 글로벌 고기능화 트렌드… 일본 뒤쫓다 중국에 먹힌다! | 2025-08-01 | ||
[폴리머] 폴리올레핀, 중국 이어 인디아도 확장 일본, 고기능화로 대응한다! | 2025-07-25 | ||
[첨가제] 플래스틱 산화방지제, 신흥국 중심으로 안정적 성장 고기능·지속가능성 강화하라! | 2025-07-04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